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고학년 아동의 학업관련 정의적 요인이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업스트레스, 자율성,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

이용수  0

영문명
The Impact of Academic-Related Affective Factors on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in Transitional Adolescents: Academic Stress, Autonomy, and Academic Motivation
발행기관
한국부모교육학회
저자명
김민정
간행물 정보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1호, 47~6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12,13차의 자료 분석을 통해 초등고학년 아동의 학업관련 정의적 요인이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SPSS Statistics 버전 28을 활용하여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자율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학업동기가 강할수록 학업 수행능력이 높아졌다. 학업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율성과 학업동기 중 학업적 자기 효능감은 낮아진다. 자율성이 높을 수록 학업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수행 능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수행 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업스트레스, 자율성, 학업동기가 학업수행 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뿐만 아니라 이들 가운데 어떠한 요인이 학업수행 능력에 가장 설명력이 큰 변수인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한 교육정책, 교육과정, 부모의 자녀 발달단계나 개개인의 학업 발달 수준에 부합한 학업 자극 제시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cademic-related affective factors in upper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the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of transitional adolescents by analyzing data from the 12th and 13th wave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To achieve th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8.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autonomy and stronger academic motivation are associated with better academic performance. Conversely, higher academic stress reduces academic self-efficacy, a key component of autonomy and academic motivation. Additionally, greater autonomy leads to increased academic motivation. Secon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was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academic stres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as it empirically verifies not only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stress, autonomy,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but also identifies the most explanatory factor among them. The findings provide valuabl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curricula, and parental support tailored to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and individual academic growth, ultimately contributing to enhancing the academic performance ability of transitional adolescent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정. (2025).초등고학년 아동의 학업관련 정의적 요인이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업스트레스, 자율성,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 부모교육연구, 22 (1), 47-63

MLA

김민정. "초등고학년 아동의 학업관련 정의적 요인이 전환기 청소년의 학업수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학업스트레스, 자율성,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 부모교육연구, 22.1(2025): 47-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