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의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6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Stress in Adolescents
발행기관
한국부모교육학회
저자명
허미경 도미향
간행물 정보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1호, 87~10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압력, 의사소통, 신뢰의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PSK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의 14차의 양육방식(성취압력), 부모애착척도(IPPA), 자아존중감과 15차의 학업스트레스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IBM SPSS 26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한 Cronbach’s alpha 값과 빈도분석,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3단계 매개효과분석과 Sobel-test를 통해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신뢰가 자아존중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부모에 대한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높아졌다. 둘째, 성취압력은 학업스트레스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신뢰는 학업스트레스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성취압력 중심의 양육방식이 오히려 학업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부모와의 신뢰는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셋째, 자아존중감은 학업스트레스에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자아존중감은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의 학업스트레스를 경감할 수 있는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방식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ngitudinall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chievement pressure, communication, and trust) and academic stress in adolescents. Data from the 14th wave of the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PSKC) were analyzed, focusing on parenting styles (achievement pressure),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 self-esteem, and academic stress. Analyses included reliability testing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a mediation analysis using SPSS 26. The mediating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a three-step mediation analysis and by the Sobel tes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and trust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elf-esteem. In other words, the better the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trust, the higher the self-esteem. Second, achievement pressure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academic stress, while trust had a negative impact. Third,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academic stress. In other words, self-esteem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reduces academic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for desirable parenting styles to mitigate academic stress in adolescents are proposed.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미경,도미향. (2025).부모의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부모교육연구, 22 (1), 87-109

MLA

허미경,도미향. "부모의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부모교육연구, 22.1(2025): 87-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