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 아버지가 인식하는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갈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9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Social Competence of Father’s and Mother’s perceptions on Child care Activat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영 권수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1호, 169~1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머니, 아버지가 인식하는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갈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집한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데이터를 사용하여 취학 전 만 6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아버지 총 1,056명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어머니, 아버지 모두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이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과 아버지가 인식한 부부갈등,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갈등, 아버지가 인식한 양육스트레스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기르기 위해 어머니는 아버지와의 관계에서 오는 부부갈등을 아버지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오는 양육스트레스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관리가 필요함을 제기해 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hild care activat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and fathers on infants’ social competence. Using the data from the 7th year (2014)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collected by the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mothers and fathers of 6-year-old children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both the mother and father showed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Second, it can be seen that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the mother and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the father and parenting stress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Third, it can be seen that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has the most influence on marital conflict perceived by mothers and parenting stress perceived by fat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 cultivate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mothers should manage marital conflicts in their fathers’ relationships, and fathers should manage parenting stres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러티브에 기반한 유아 문학 교육과정 방향 탐구
- 공공 도서관 인기 대출 그림책에 나타난 문화 다양성 내용분석
- 영유아교사의 신념, 의사결정 유형,교육 상황에서의 권리존중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 ‘말놀이 동시 활동’ 협력적 실행 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 유치원 교사의 정보그림책 인식 및 읽기 실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 유아 상상력 관련 변인 분석: 교실문해환경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영아기질과 가정환경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6~7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 다문화 그림책 감상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
- 「빨간 모자」옛이야기를 재해석한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문학적 요소와 포스트모던적 특성 분석
- 어머니, 아버지가 인식하는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갈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해양 생태체험활동 속 유아의 해양환경에 대한 생명존중 인식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