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정보그림책 인식 및 읽기 실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Kindergarten Teachers’Perception and Reading Practices of Informational Picture Books: A focus group interview stud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지윤경 김민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6권 제1호, 81~10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정보그림책에 대한 인식, 읽기 실태 그리고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는 A시에 있는 사립유치원 교사 12명, 세 그룹의 연구참여자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 인식 조사 결과 정보그림책을 자연과학책으로 한정하여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치원 교사들은 정보그림책 읽기의 주된 목적을 유아의 지적 호기심 충족에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정보그림책 읽기 실태 조사 결과 교사들은 정보그림책 읽기를 주로 과학 활동, 텃밭 가꾸기와 같은 유치원의 체험 활동 중에 생기는 유아의 궁금증 해결과 흥미를 지원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그림책을 읽는 방법으로는 많은 교사들이 유아의 즐거움을 높이기 위해 책의 그림과 글 텍스트를 중심으로 유아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 하며 읽는다고 한다. 또한 유아에게 낯선 어휘나 정보는 이해를 돕기 위해 사진, 그림, 동영상 등을 준비하여 제공하고 있다. 사후 활동은 정보그림책 내용을 바탕으로 유아들과 함께 역할놀이, 퀴즈, 책 만들기, 게임 등 다양한 놀이로 확장된다. 셋째, 정보그림책 읽기에서 교사의 큰 어려움은 유아의 다양한 흥미와 언어인지 발달 수준에 맞는 책이 적음을 꼽았다. 본 연구 결과는 정보그림책이 자연과학 이외에도 유아의 흥미 그리고 유익한 정보와 지식을 다루고 있음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이해 증진과 유아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그림책 개발 및 제작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in-depth the perception, reading status, and difficulties of information picture books for Kindergarten teachers. In this study, 12 teachers of private preschools in A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the teacher recognition surve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picture books were limited to natural science books. It was found that preschool teachers set the primary purpose of reading information picture books to satisfy children's intellectual curiosity. Second,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reading preschool information picture books, it was found that teachers read information picture books mainly to support children's curiosity and interest that arise during preschool science activitie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such as gardening. As a method of reading information picture books, many teachers actively interact with children, focusing on the pictures and texts of books, to increase their enjoyment. In addition, photos, pictures, and videos are prepared and provided to help young children understand vocabulary or information unfamiliar to them. As a post-activity, various play expansions such as role play, quizzes, and games are conducted with childre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nformation picture book. Third, another difficulty of reading information picture books was that few books were suitable for children's various interests and language cognitive development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preschool teachers that information picture books deal with children's interests and useful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addition to natural science, and to develop and produce various information picture books that children can easily understan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러티브에 기반한 유아 문학 교육과정 방향 탐구
- 공공 도서관 인기 대출 그림책에 나타난 문화 다양성 내용분석
- 영유아교사의 신념, 의사결정 유형,교육 상황에서의 권리존중 실행 간의 구조적 관계
- ‘말놀이 동시 활동’ 협력적 실행 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변화
- 유치원 교사의 정보그림책 인식 및 읽기 실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 유아 상상력 관련 변인 분석: 교실문해환경과 교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영아기질과 가정환경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6~7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 다문화 그림책 감상 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반응
- 「빨간 모자」옛이야기를 재해석한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문학적 요소와 포스트모던적 특성 분석
- 어머니, 아버지가 인식하는 양육분담, 양육스트레스 및 부부갈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해양 생태체험활동 속 유아의 해양환경에 대한 생명존중 인식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