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릿(Grit)의 종단적 변화:일반고와 직업계고 진학 집단 비교
이용수 198
- 영문명
- Longitudinal Changes in Grit: A Comparison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서봉언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8권 제1호, 23~4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구지역 일반고와 직업계고 학생들의 그릿(Grit) 변화 양상을 종단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교육종단연구(2017-2021)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학생들을 추적 조사하였으며, 시간 변수를 개인 내 요인으로, 고교 유형을 개인 간 요인으로 설정한 혼합설계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계고 진학 학생들은 일반고 학생에 비해 원거리 통학 가능성이 높아 통학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통학 지원 정책과 직업계고의 교육 여건 개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대구 학생들의 그릿은 전반적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일반고 학생들은 중학교 2학년 시기에 급격한 감소를 나타냈다. 이는 정서적 지원 체계 강화와 지속적인 심리 상태 점검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반면, 직업계고 학생들은 고교 진학 시기에 높은 노력지속성을 보였으나, 고등학교 2학년 시기에는 일반고 학생과 유사한 수준으로 하락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계고 진학 전 적성과 흥미에 기반한 진로 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노력지속성의 장기적 유지를 위한 단계별 목표 설정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관심유지 그릿은 고교 유형과 관계없이 전반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이론적 모호성과 측정 타당성 문제로 인해 추가적인 심층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longitudinal changes in grit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from middle school through high school. Using data from the Daegu Education Longitudinal Study(2017-2021), we tracked students for five years, from their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o their second year of high school. To analyz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grit, we employed a mixed design (split-plot design) with time points as the within-subject factor (5 levels) and high school type (general vs. vocational) as the between-subject factor.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attending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more likely to face long-distance commuting challenges compared to their peers in general high schools, highlighting the need for commuting support policies and improvement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s. Overall, students in Daegu exhibited a declining trend in grit over time, with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ing a particularly sharp decrease during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This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emotional support systems and regularly monitoring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tras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erseverance of effort at the point of high school entry but experienced a decline to levels comparable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by their second year of high school. These findings emphasize the need for pre-admission career counseling tailored to students' aptitudes and interests, as well as stepwise goal-setting programs to sustain perseverance of effort over the long term. Furthermore, the consistency of interests, a component of grit, showed a consistent decline over time regardless of high school type. Given the theoretical ambiguity and issues with discriminant validity in this dimension, further in-depth research is needed.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검토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