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이용수 28
- 영문명
-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the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김두섭 오범호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8권 제1호, 71~10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교육실습 지도 경험을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이들이 교사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 협력학교로 처음 지정된 3개 학교의 지도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실습 지도교사들의 참여 동기에는 개인의 전문성 향상 추구와 교직 발전에 대한 책임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지도 과정에서 이들은 수업 공개에 대한 부담감, 정보 및 시간의 부족 등 다차원적 도전에 직면하였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개인적 연수와 동료 간 협력 등을 시도하였다. 특히 교육실습생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완벽한 수업’이라는 부담감을 넘어 학교 현장의 실제적 모습을 보여주는 ‘진짜 수업’으로 관점을 전환하며 교사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갔다. 지도교사들은 학교 현장의 실천적 맥락을 전달하는 고유한 전문성 영역을 구축하였으며, 예비교사들의 모델링 대상이자 멘토로서 다면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양성 체계에서 교육실습 지도교사의 독자적 역할과 전문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이들에 대한 체계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elementary school cooperating teachers experience the teaching practicum and develop their identity as teacher educator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cooperating teachers from three schools newly designated as teaching practicum partnership schools. The findings revealed that cooperating teachers engaged in teaching practicum with dual motivations of pursuing personal professional growth and fulfilling responsibil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profession. In the process of practicum, they faced various challenges including pressure of lesson demonstration,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time constraint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they employed both individual efforts and collaborative approaches with colleagues. A significant finding was their perspective transformation from pursuing 'perfect lessons' to embracing 'authentic lessons' that represent the actual school context, which proved crucial in establishing their identity as teacher educators. Throughout this process, cooperating teachers developed a unique domain of expertise in conveying practical school contexts while serving multifaceted roles as role models and mentors for pre-service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expanding our understanding of cooperating teachers' distinctive roles and expertise within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ultimately suggesting the necessity for systematic support measur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