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량기반 교원 승진임용제도의 과제와 전망
이용수 51
- 영문명
- Challenges and Prospects of a Competency-Based Teacher Promotion and Appointment System
- 발행기관
-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 저자명
- 주현준 김영식
- 간행물 정보
- 『지방교육경영』제28권 제1호, 47~6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현행 교원 승진임용제도가 안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역량 기반 교원 승진임용제도의 도입 필요성과 이를 위한 과제 및 향후 전망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기존의 교원 승진임용제도는 평정 요소를 조정하거나 하위 항목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개정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를 둘러싼 이해당사자들의 이견을 좁히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장리더십의 변화와 현행 제도의 한계를 분석하고, 공공부문에서 시행 중인 역량평가 제도를 현행 교원승진임용제도에 대한 대안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학교관리자 리더십의 변화 과정을 살펴본 후, 현행 교원 승진임용제도의 쟁점을 경력평정, 근무성적평정, 연수성적평정, 가산점 등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공공부문에서 시행 중인 역량평가 제도의 현황과 쟁점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교원 승진임용제도에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역량기반 교원 승진임용제도의 도입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힉교관리자 표준 역량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을 재설계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와 함께 역량기반 교원 승진임용제도 도입 및 운영을 위한 체제를 구축하고, 궁극적으로 중장기적 관점에서 교원 승진임용제도를 학교관리자(리더) 양성제도로 전환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competency-based teacher promotion and appointment system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teacher promotion and appointment system. The existing system has primarily been revised through adjustments to evaluation components and modifications of subcategories. However, such changes have been insufficient in resolving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To address this issue, the study analyzes the evolution of principal leadership and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ystem, proposing the competency-based evaluation system employed in the public sector as an alternative.
The study examines the changing roles of principals and the development of their leadership, followed by an in-depth analysis of the current teacher promotion and appointment system's key issues. These issues are categorized into performance evaluation components such as career evaluation, job performance evaluation, training evaluation, and additional points. Furthermore,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the competency evaluation system implemented in the public sector to assess its applicability to the teacher promotion and appointment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national standard for school leadership competencies and redesigning leadership education programs to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a competency-based teacher promotion and appointment system. Additionally,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robust system for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of this new approach. Ultimately, it suggests a long-term transition from the current promotion and appointment system to a teacher leadership development system.
목차
I. 서론
II. 학교관리자 리더십과 교원 승진임용제도
III. 공공부문 역량평가제도의 현황과 쟁점
I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