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영재아동의 완벽주의 성향에 대한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Perfectionism of TwoElementary 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윤소영 한기순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8권 제2호, 93~12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완벽주의 성향을 나타내는 영재아동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질적 사례연구 기법을 활용하여 완벽주의 성향을 보이는 초등 영재학생 두 명의 행동 양상 및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와 참여자의 어머니, 영재교육 담당교사 및 담임교사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영재 수업에서의 산출물, 관찰 기록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참여자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높은 인지적 발달 수준을 보이는 두 학생은 완벽주의 성향에 수반되는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었는데, 높은 성취 목표와 실수에 대한 염려, 자신에게 많은 의무 부여하기, 비판적인 사고와 태도로 인한 또래 관계의 어려움, 학교와 가정에서 다르게 반응하는 스트레스 등의 행동 특성을 보였다. 이들은 성취에 지나치게 의존한 높은 기준에서 시작하여 실수나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높은 자기 조절을 하며, 자기 평가를 통해 다시 목표를 높여가는 과정을 반복하였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완벽주의 성향이 지속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완벽주의 성향은 부모와 환경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와 관련하여 실천적 함의가 심도있게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qualitative case study is to understand gifted students who embrace perfectionism. This study focuses on their behaviors related to their perfectionist disposition. For the study, two gifted students were observed and interviewed over an 8-month period. In addition, their mothers, regular class room teachers, and gifted education teacher were interviewed in depth. Results show that the two students with high cognitive ability exhibited different types of behavior caused by perfectionism, such as setting achievement goals too high, abnormal worry about failure, taking on more tasks than can be handled, relationship difficulties with peers caused by their critical attitudes, and different stress reactions at home and school. In addition, their perfectionism has been maintained by the biased evaluation of the pursuit and achievement of personally demanding standards. Their perfectionism has also been encouraged by their parents and environment. Practical implications related to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discussed in depth.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