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미국의 예비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견해 차이 들여다보기: 문화교류 프로젝트의 온라인 대화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Korean and American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f teaching andbecoming new teachers: Intercultural online exchang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이순아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18권 제2호, 57~9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미국의 예비교사와 어떻게 다른지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 문화교류 프로젝트에 참여한 미국의 예비교사 37명, 한국의 예비교사 42명의 비동시적 온라인 소집단 토론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미래 교사로서의 교수목표는 11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는데, 미국 예비교사들은 배움에 대한 가치와 즐거움을 강조한 정서적 측면의 교수 목표를 강조한 반면, 한국 예비교사들은 자아발달 및 적성교육 측면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두 문화의 예비교사들은 미래교사로서 가지고 있는 어려움과 관련해서 공통적으로 교수방법, 학급관리, 교사로서의 정체성 관련 문제를 많이 언급하였는데, 그 중에서 미국 예비교사들은 학급 및 학생의 행동관리 부분을, 한국 예비교사들은 교수방법 측면을 가장 큰어려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좋은 교사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 면에서도 미국 예비교사들은 수업 기술을, 한국 예비교사들은 학생 이해를 위한 지식을 각각 좋은 교사의 가장 중요한 자질로 지목함으로써 문화 간 차이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예비교사들의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온라인 대화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문화·보편적으로 혹은 문화·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두 문화 예비 교사들의 교육과 교직에 대한 인식을 비교·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연구방법론과 교사교육 분야, 그리고 학교현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study explored Korean and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what teaching is and their concerns as future teachers. Participants included 42 Korean and 37 American preservice teachers in three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sessions of an intercultural project. Data sources included 30 written transcripts of all discussion sessions produced by 10 mixed groups. Data analysis was inductive and aimed at generating themes. Eleven categories were identified with respect to preservice teachers’ aspirations for teaching and most participants’ goals for teaching touched on more than one category. Interestingly, whereas Korean preservice teachers emphasized self-development and aptitude education, Americans described affective aspects of learning the most. Korean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teaching methods and skills as their greatest concern in becoming new teachers, whereas Americans focused on classroom and behavior management the most.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what knowledge or skills are required to be good teachers, whereas American participants described teaching skills as most crucial, Koreans emphasized knowledge of children’s development for understanding their future students. Findings suggest that culture impacts an individual’s perceptions about teaching and teachers, and highlights the potential importance for teacher educators to consider students’ conceptions of teaching contextualized in different culture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 기업 및 성인교육 글로벌화를 위한 이슈와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중심으로
- 코칭리더십이 혁신적 업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잡크래프팅과 직원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중년 여성의 디지털 평생교육 참여 경험의 의미와 HRD 관점의 실천 방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