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동발달재활사의 경력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성 분석
이용수 25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areer Competency Scale for Behavior Analysts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최유나 김대용 설현수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1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행동발달재활사의 지속 가능한 경력 개발을 지원하고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경력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문헌 검토를 통해 경력역량의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의견 수렴과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최종 척도는 ‘성찰’, ‘경력 관리’, ‘직무 탐색’, ‘자신의 정보 수집’의 네 가지 요인으로 구성된 11개 문항으로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가 기준치를 충족하여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행동발달재활사의 직무 특성과 환경적 요구를 반영한 경력역량 척도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자기 평가, 교육 및 훈련 설계 등 다양한 실무적 활용 가능성을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척도를 활용하여 경력역량과 서비스 품질 간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career competency scale tailored for behavior analysts to support sustainable career development and enhance professional expertise. Key dimensions of career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through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and the scale was constructed and rigorously validated using expert inpu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nalized scale comprises 11 items encompassing four dimensions: Reflection, Career Management, Job Exploration, and Self-Information Collection.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robust psychometric properties, with fit indices meeting established thresholds, thereby affirming the scale’s reliability and validity.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ly grounded and empirically validated tool that addresses the unique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demands of behavior analysts. The scale hold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elf-assessment, professional training design, and evidence-based workforce evaluation. Future research should investigate the linkage between career competencies and service quality outcomes, thereby broadening the scale’s applicability and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behavioral rehabilitation pract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디오 모델링과 자기점검 전략을 결합한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키오스크 사용 기술에 미치는 영향
- 개별시도교수가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 아동의 모방 기술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자기점검전략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재활용품 분리배출기술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발달장애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 분석: 행동중재를 위한 교육 중심으로
- 행동발달재활사의 경력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성 분석
- 비디오 촉진과 최소-최대 촉진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손 씻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언어행동기반의 조기집중행동중재(EIBI)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유아의 언어행동발달점(Verbal Behavior Cusps)에 미치는 영향
- 시각 및 청각적 지원 기반의 예방 및 강화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식사 지속시간 및 구토 빈도에 미치는 영향
- 『행동분석‧지원연구』학술지 단일대상연구설계 논문의 응용행동분석 7가지 차원 특성 분석
- 행동연쇄중단전략이 자폐성장애아동의 눈맞춤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