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 및 청각적 지원 기반의 예방 및 강화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식사 지속시간 및 구토 빈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5

영문명
The Effects of Preventive and Reinforcement Interventions Based on Visual and Auditory Supports on Mealtime Duration and Vomiting Frequency in an Adul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발행기관
한국행동분석학회
저자명
변관석
간행물 정보
『행동분석·지원연구』제11권 제3호, 21~4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각적 지원과 자기 청각적 촉진 기반의 예방 및 강화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식사 지속시간과 구토 발생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특수학교 전공과에 재학 중인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 1명이었다. 본 연구는 반전설계(ABAB)를 적용하여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의 기능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파이 타이머, 먼저-다음에 그림 카드 등의 시각적 지원 및 자기 청각적 촉진을 포함한 예방적 중재와 함께 고비율 행동 차별강화를 활용한 반응적 중재를 병합하여 적용했을 때 연구 대상자의 식사 지속시간이 두 번의 기초선 구간보다 두 번의 중재 구간 모두에서 현저히 증가하여 기능적 관계가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식사 지속시간 증가와 구토 발생 빈도의 감소 사이의 상관관계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행동중재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된 사례가 비교적 적었던 성인을 대상으로, 그간 자주 연구되었던 종속변인이 아닌 식사 습관 개선과 이에 따른 건강 관련 증상의 변화를 중재 목표로 선정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eventive and reinforcement interventions, based on visual supports and self-auditory prompting, on the mealtime duration and the frequency of vomiting occurrences in an adult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The participant was an adult with ASD enrolled in a vocational education program at a special school. An ABAB reversal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hen preventive interventions, including visual supports such as a pie timer and ‘first-then’ picture cards, and self-auditory prompting were combined with reactive interventions utilizing differential reinforcement of high rates of behavior, the participant’s mealtime du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intervention phases compared to the baseline phases, demonstrating a functional relation. Additionally, a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increase in mealtime duration and the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vomiting occurrence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targeted an adult, a relatively less studied population in behavior intervention research, and selected mealtime habits and associated health-related symptoms as the intervention targets, rather than commonly studied dependent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변관석. (2024).시각 및 청각적 지원 기반의 예방 및 강화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식사 지속시간 및 구토 빈도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11 (3), 21-42

MLA

변관석. "시각 및 청각적 지원 기반의 예방 및 강화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식사 지속시간 및 구토 빈도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11.3(2024): 2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