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동연쇄중단전략이 자폐성장애아동의 눈맞춤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7
- 영문명
- Effect of Behavioral Chain Interruption Strategy on Eye contact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der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박혜정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1권 제3호, 223~24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의 눈맞춤 부족 내지 결여는 학습 상황에서의 주의력 부족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방해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에 대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중재 방법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언어적 지시나 촉구에 의존하지 않고 동기조작(MO)에 의해 자연스러운 요구(mand) 기능의 눈맞춤을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ASD 아동들에게 눈맞춤 기술을 가르치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4세에서 5세의 세 명의 ASD 아동들이 참여하였다. 실험설계로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적용하였으며, 행동연쇄중단전략(BCIS)을 독립변인으로, 호명에 대한 눈맞춤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둘 사이의 기능적 관계를 입증하였다. 연구 결과, 세 명의 참여 아동 모두 중재 20회기 내에 목표행동을 습득하였으며, 1주일 후에 이루어진 유지 평가에서도 중재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에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영문 초록
Deficits of eye contact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is a major factor interfering with social interaction and attention in learning situ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and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their eye contact skills is so important. This study attempted to teach eye contact skills to children with autism in a way that children elicit natural eye contact of demand function by motivating operations without relying on any verbal SD or promptings. Three autistic children aged 4 to 5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employed. And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BCIS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making eye contact when they were called their names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 show that all three participants achieved targeted behavior within 20 sessions intervention, and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was maintained during follow up probes 1 week later. It is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디오 모델링과 자기점검 전략을 결합한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키오스크 사용 기술에 미치는 영향
- 개별시도교수가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 아동의 모방 기술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자기점검전략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재활용품 분리배출기술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발달장애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 분석: 행동중재를 위한 교육 중심으로
- 행동발달재활사의 경력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성 분석
- 비디오 촉진과 최소-최대 촉진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손 씻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언어행동기반의 조기집중행동중재(EIBI)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유아의 언어행동발달점(Verbal Behavior Cusps)에 미치는 영향
- 시각 및 청각적 지원 기반의 예방 및 강화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식사 지속시간 및 구토 빈도에 미치는 영향
- 『행동분석‧지원연구』학술지 단일대상연구설계 논문의 응용행동분석 7가지 차원 특성 분석
- 행동연쇄중단전략이 자폐성장애아동의 눈맞춤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