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외 발달장애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 분석: 행동중재를 위한 교육 중심으로
이용수 155
- 영문명
- A Systematic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rent Training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ed on Behavior Intervention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이도영 민건홍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1권 제3호, 111~14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인 행동중재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전반적 특성,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그리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여, 향후 발달장애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대한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등재 학술지 논문 26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존 연구는 대체로 작은 표본 크기와 영유아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구설계 측면에서 통제집단 포함 비율이 국외 68.7%, 국내 40%였고, IRB 승인 비율이 국외 56.2%, 국내 20%로 국내 연구설계의 엄격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검색된 모든 프로그램은 아동 및 청소년 발달장애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인기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부모교육의 주요 내용은 행동주의와 자연적 중재의 결합(30.8%)이 가장 많았고, 응용행동분석(19.2%)이 그 뒤를 이었다. 교육의 목표는 부모의 경우 심리․정서적 개선(52%), 자녀의 경우 문제행동 감소(47%)가 각각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부모의 행동분석 지식에 대한 교육 효과는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양육 스트레스와 양육 효능감 개선에 대한 효과는 일부 연구에서 제한적인 결과를 보였다. 또한, 자녀의 문제행동 감소에 대한 효과성은 혼재된 결과를 나타냈다. 기존 연구들은 작은 표본 크기(24.3%), 단기간 연구 설계(10%), 제한적인 요인 분석(10%), 부적절한 평가 도구(10%) 등을 한계로 지적하였으며, 이는 향후 대규모 표본과 장기적 관찰을 기반으로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는 정교한 연구 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evaluate the overall characteristics, key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nd the effectivenes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designed for behavior interventions targeting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oing this, it seeks to propos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uture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achieve this, 26 articles published in indexed academic journals between 2004 and 2024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existing studies on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rimarily used small sample sizes and focused mostly on parents of young children. Additionally, the research designs were often limited in scope. All the programs identified targeted parent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no studies were found that focused on parent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rimary cont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was predominantly a combination of behavioral approaches and naturalistic interventions (30.8%), followed by applied behavior analysis (19.2%). The main objectives of these programs were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of parents (52%) and to reduce problematic behaviors in children (47%). The educational effects on parents’ knowledge of behavior analysis were generally positive. However, the impact on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improving parenting efficacy yielded limited results in some studies. Similarly, the effectiveness of reduci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s yielded mixed outcomes. Identified limitations in previous studies included small sample sizes (24.3%), short-term research designs (10%), limited factor analysis (10%), and inadequate evaluation tools (10%).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employing larger sample sizes, long-term observations, and sophisticated research designs that incorporate a variety of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디오 모델링과 자기점검 전략을 결합한 중재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키오스크 사용 기술에 미치는 영향
- 개별시도교수가 통합어린이집 발달장애 아동의 모방 기술에 미치는 효과
- 비디오 모델링을 활용한 자기점검전략이 지적장애 중학생의 재활용품 분리배출기술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발달장애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체계적 분석: 행동중재를 위한 교육 중심으로
- 행동발달재활사의 경력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성 분석
- 비디오 촉진과 최소-최대 촉진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손 씻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 언어행동기반의 조기집중행동중재(EIBI)가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유아의 언어행동발달점(Verbal Behavior Cusps)에 미치는 영향
- 시각 및 청각적 지원 기반의 예방 및 강화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성인의 식사 지속시간 및 구토 빈도에 미치는 영향
- 『행동분석‧지원연구』학술지 단일대상연구설계 논문의 응용행동분석 7가지 차원 특성 분석
- 행동연쇄중단전략이 자폐성장애아동의 눈맞춤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