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비디오 촉진과 최소-최대 촉진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손 씻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7

영문명
The Effects of Video Prompting and Least-to-Most Prompts on Handwashing Skills in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발행기관
한국행동분석학회
저자명
고미현 정선화
간행물 정보
『행동분석·지원연구』제11권 제3호, 169~18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비디오 촉진과 최소-최대 촉진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손 씻기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가정과 교육기관에서 일과 중 손 씻기 기술 수행에 어려움을 보이는 자폐성 장애아동 세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의 손 씻기 기술 교수를 위해 비디오 촉진과 최소-최대 촉진을 사용하였고,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중재 효과를 평가하였다. 실험은 기초선, 중재, 유지 조건으로 진행하였으며, 각 실험 조건 별로 일반화 효과를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들은 중재를 제공한 후 손 씻기 기술의 향상을 보였고, 중재가 제거된 후에도 향상된 기술이 유지되었으며, 중재를 제공하지 않은 가정에서도 일반화 효과가 관찰되었다. 연구 참여 아동의 부모, 담당 치료사 및 동료 치료사는 중재 목표의 중요성, 절차의 적절성, 효과의 중요성을 포함한 사회적 타당도에 대해 높게 평가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ideo prompting and least-to-most prompts on the handwashing skills of you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hree children who had difficulties washing their hands during their daily routine at home or at the educational center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tervention of video prompting and least-to-most prompts was implemented to teach them handwashing skills, and the effects were evaluated using a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design. The experiments consisted of a baseline,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condition that was conducted throughout each experimental condition. All the children showed improvements in their handwashing skills after the intervention was provided, the effects were maintained with the withdrawal of the intervention, and the effects were also generalized into the home environment in which the intervention was not provided. In addition, the parents of the participants, the primary therapist, and a colleague therapist highly evaluated the social validity of the intervention, including the social significance of the target behavi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cedures, and the social importance of the outcom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미현,정선화. (2024).비디오 촉진과 최소-최대 촉진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손 씻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행동분석·지원연구, 11 (3), 169-188

MLA

고미현,정선화. "비디오 촉진과 최소-최대 촉진이 자폐성 장애아동의 손 씻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행동분석·지원연구, 11.3(2024): 169-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