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교사 양성대학의 교사교육자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18

영문명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for teacher educators in prospective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저자명
이순배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9권 제3호, 137~16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교육자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0년부터 2024년까지 예비교사 양성대학의 교사교육자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학술지 RISS에 게 재된 교사교육자 연구 논문을 111편 선정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시기별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에 있어서 가 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질적연구(50.5%)였고, 자기연구(32.4%), 양적연구(9.9%), 혼합연 구(5.4%), 문헌연구(1.8%)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주제 분석 결과, 교사교육자 연구주제는 교사교육자와 관련된 7개의 내·외적 주제와 자기연구의 3개 주제로 구성되었다. 이 중 가장 많 이 나타난 주제는 자기성찰(29.7%)이었다. 셋째, 연구대상에 있어서 초등교육(31.5%), 유아교 육·보육(28.8%), 대학교육(25.5%), 중·고등교육(9.0%) 등의 순서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시기별 분석 결과, 교사교육자 연구는 2000년대 시작되어 2010년에 더 활발해졌고,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사교육자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을 통하여 교사교육자 연구에 관한 관심을 높이고, 교사교육자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for teacher educators in prospective teacher training universities from 2000 to 2024 to provide basic data for revitalizing teacher educator research. A total of 111 research papers for teacher educators published in the domestic journal indexed by RISS are selected and analyzed based on research methods, topics, subjects, and periods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ly used research method is qualitative research (50.5%), followed by self-study (32.4%), quantitative research (9.9%), mixed-methods research (5.4%), and literature research (1.8%). Second, as a result of the subject analysis, the subject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ors consists of seven internal and external topics related to teacher educators and three subjects of selfstudy. Among them,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subject is self-reflection (29.7%). Third, in terms of research subjects, research is actively conducted in the order of elementary education (31.5%),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28.8%), university education (25.5%), and middle and high education (9.0%). Fourth, research on teacher educators has grown steadily since its emergence in the 2000s, becoming more active in the 2010s and showing a continuous upward tren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ncreasing teacher educators’ interest in research and using it as a basis for further scholarly inquiry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trends for teacher educat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순배. (2024).예비교사 양성대학의 교사교육자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9 (3), 137-162

MLA

이순배. "예비교사 양성대학의 교사교육자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9.3(2024): 137-1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