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정의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실천역량과의 관계
이용수 40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practical competencies in social justice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9권 제3호, 79~10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재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의 사회정의에 대한 교육신념과 실천역량을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개인변인에 따라 사회정의에 대한 교육신념과 실천역량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재직 중인 3~5세 유아교사 376명이었다. 사 회정의의 교육신념과 실천역량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정의 교육신념 척도와 다문화 사회정 의 역량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재직 중인 유아교사는 사회정의에 대한 인식과 교육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정의에 대한 교육신념에서 열린 태도의 중요성 인식이 가 장 높았으며, 개인변인에 따른 차이로는 연령이 낮을수록 교육신념과 실천역량이 높았고 학력이 높을 수록 더 높은 신념과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유형의 경우 민간어린이집과 국·공립어린 이집보다 병설유치원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개인변인과 사회정의 교육 관련 경험은 사회정의 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실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장 에서 실천할 수 있는 사회정의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 사회정의 교육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아교육에서도 사회정의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beliefs and practical competenc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regarding social justice, and examine how they vary based on individual teacher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7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with children aged 3 to 5 in Seoul and Gyeonggi area. In order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eliefs and practical competencies of social justice, the Social Justice Education Belief Scale and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Competency Survey were conducted. Results reveal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urrently working exhibited awareness of social justice with the highest recognition given to the importance of open attitudes in educational beliefs. Variataions based on individual variables showed that the younger the age, the higher the educational belief and practical competency, and the higher the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belief and interest. In the case of institutional type, attached kindergartens were higher than private daycare centers and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significant role of individual variables and experiences in shaping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competencies for social justic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just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practiced in the field and early childhood social justi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suggests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also requires social justice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