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립유치원 혼합연령 단일학급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이용수 36
- 영문명
- Mixed-age classroom teachers’ experiences with learning communities in public preschools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김유미 김언경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9권 제3호, 109~13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공립유치원 혼합연령 단일학급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혼합연령학급을 1년 이상 지도한 공립유치원 교사 5명이며, 학습공동체에서 연구 참여자 간 상호작용한 자료와 공유 사례, 개 별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여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혼합연령 단일학급만의 고민을 경험하고 있었고 학습공동체 에서 고민과 해결 방안을 공유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답을 찾았다. 작은 유치원의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성을 찾으며 혼합연령 단일학급의 가치에 대한 생각이 변하 였다. 비슷한 상황에 처한 공통점을 기반으로 서로의 고민을 나누고 실천 경험을 나누며 협력과 정서적 안정을 주는 동료를 찾아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혼합연령 단일학급 교사들의 학습공동체 참여의 의의와 가치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xperiences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mixedage classrooms and their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The participants were fiv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who taught mixed-age classes for more than one year. A qualitative approach was employed incorporating interaction data, sharing cases, and individual interview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ir particip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s were experiencing challenges unique to mixed-age classrooms, and found solutions through collaborative interactions within the learning community. They changed their thoughts about the value of mixed-age classrooms by finding a direction for the curriculum management of small kindergartens. Based on the commonality of similar situations, they shared their concerns and practical experiences, and found colleagues who provided cooperation and emotional stability to build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The study underscores the significance of such communities in addressing the unique needs of these educat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