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육 전공교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기대 은유 분석
이용수 15
- 영문명
- Expecta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ir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장은주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9권 제3호, 5~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은유 분석을 통해 유아교육 전공교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기대를 탐구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4년제 유아교사 양성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 233명이었으며, 이들의 응답 내용 총 623개를 토대로 빈도분석과 은유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육 전공교수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기대 는 ‘교수특성’(40.1%), ‘수업’(38.2%), ‘진로’(21.7%)로 구분되었다. 세부적으로는 ‘교 수특성’은 ‘상호작용’(23.1%), ‘인성’(10.9%), ‘모델링’(6.1%)으로 구분되었고, ‘수업’은 ‘지식’(18.3%), ‘강의’(9.5%), ‘현장경험’(6.2%), ‘지원’(4.2%)으로 구분되었으며, ‘진로’ 는 ‘조력’(13.8%)과 ‘안내’(7.9%)’로 구분되었다. 즉,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교육 전공 교수의 교수특성과 수업 관련 부분에 대한 기대가 높았는데, 특히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 전공교수가 ‘수업’과 ‘진로’에 대한 교육 및 지도뿐 아니라 예비유아교사들과의 ‘상호작용’도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xpecta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ir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metaphor analysis. The participants comprised 233 undergraduate students (freshman to senior) enrolled in a four-yea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university located in a metropolitan area. A total of 623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ses regarding expectations for their professors were classified into ‘personal characteristics’ (40.1%), ‘instruction’ (38.2%), and ‘career guidance’ (21.7%). To be specific,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interaction’ (23.1%), ‘personality’ (10.9%), and ‘modeling’ (6.1%); ‘instruction’ was divided into ‘knowledge’ (18.3%), ‘teaching capabilities’ (9.5%), ‘field experience’ (6.2%), and ‘coaching’ (4.2%); and ‘career guidance’ was divided into ‘assistance’ (13.8%) and ‘guidance’ (7.9%). In other word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higher expectations for their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n the aspect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instruction, especially in regard to interactional capabil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ofess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make efforts, not only for education and career guidance, but also to ensure meaningful interactions with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