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울감을 호소하는 노인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145
- 영문명
-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n Elderly Person Complaining of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최명순
- 간행물 정보
- 『모래놀이상담연구』제20권 제2호, 177~19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제적으로 궁핍하고 열악한 환경에서 자식을 잘 돌보지 못한 죄책감으로 인하여 우울감을 호소하는 72세 여성 노인이 자유롭고 보호된 공간과 안정적으로 기반 된 모래 상자 안에서, 내담자 스스로가 내면에서 울려 나오는 자신의 소리를 듣고, 자신의 살아온 삶을 만나게 된다. 노인은 현재 상황을 인지하고 받아들이며 앞으로 살아갈 자신의 삶에 대한 태도와 수용을 모래놀이에서 고통, 죽음, 재생의 통과의례 과정을 통해 풀어가고자 하였다. 내담자는 모래상자를 만드는 과정 안에서 마음으로부터 전해지는 전율을 손으로 모래 상자에 형상화시켰다. 과거의 경험을 재조직하고 노년기의 다양한 변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삶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그 의미를 발견하게 되면서 노년기 우울을 중재할 수 있기 위해 노년기에 수행해야 할 중요한 발달과업을 3단계로 보여주었다. 3단계 발단 과업으로 첫째는 진정한 나를 찾아 자유로워지는 것이며 둘째는 살아오는 동안 페르소나와 동일시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미숙하고 열등하며 부정적인 인상을 주는 자신의 그림자들을 하나씩 만나며 자신의 일부로 수용하여 자신을 성숙시키고 자기실현의 길로 나아가는 과업이다. 셋째는 노년기에 있어서 미래에 대한 과업인 죽음을 준비하는 것이다. 이 사례에서와 같이 인간의 발달을 태어나면서 죽을 때까지 계속된다는 전(全)생애 발달적 관점에서 볼 때, 노년기는 인간의 전체 발달 단계 중 하나이며, 노인으로서 수행해야 할 중요한 과업을 치료사가 내담자와의 모자 일체성을 발휘하여 인생의 마지막을 완성하는 단계로 잘 보여주고 있다.
영문 초록
Carl Jung (C.G.Jung) said that the task in old age after middle age is to listen to one’ s inner voice and accept death as a process of completing oneself. In this study, a 72-year-old woman complaining of depression due to feelings of guilt for not taking good care of her children in an economically poor and poor environment was able to hear her own voice echoing from within in a free and protected space and a stable sandbox. After listening to it, you get to know your own life. The old man recognized and accepted the current situation and tried to resolve his attitude and acceptance toward his future life through the rite of passage process of pain, death, and rebirth in sand play.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the sandbox, the client embodied the thrill from her heart into the sandbox with her hands. In order to mediate depression in old age by reorganizing past experiences and discovering the meaning and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of life that can positively accept various changes in old age, the important developmental tasks that must be performed in old age are divided into three stages. showed it The three starting tasks are: the first is to find one’ s true self and become free; the second is to identify the dark side of oneself. An unconscious aspect of yourself that you don’ t want to accept as part of. It is a task to meet them one by one, accept them as part of oneself, mature oneself, and move forward on the path to self-realization. Thirdly, in old age, it is to prepare for death, which is a task for the future. As in this case, when looking at human development from a life-long developmental perspective that continues from birth until death, old age is one of the overall development stages of a human being, and the therapist helps the client with the important tasks that must be performed as an elderly person. It is clearly shown as a stage of completing the end of life by demonstrating mother and son’ s unity with each oth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모래놀이상담의 과정 및 해석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