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별한 30대 초반 여성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부성 콤플렉스 관점에서
이용수 116
- 영문명
- A Case Study of Sandplay Therapy for an Early 30’s Bereaved Woman: Focused on Father Complex
- 발행기관
-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 저자명
- 심희옥
- 간행물 정보
- 『모래놀이상담연구』제20권 제2호, 1~3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별을 경험한 30대 초반 여성의 모래놀이치료를 분석심리학과 모래놀이치료의 이론을 근거로 부성 콤플렉스 관점에서 탐색한다. 내담자는 관계와 정서조절의 어려움, 무력감에서 벗어나고 싶어한다. 총 27회기의 모래놀이치료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해석해 볼 수 있다. 상담초기(1-5회기, 방임, 여행의 시작)에는 전형적인 부성 콤플렉스 여성의 특징인 건강하지 못한 여성성과 영유아시기 방임된 모습을 드러내고, 모래상자 오른편 앞 여성성의 영역에서 여정이 시작되어야 함을 표현하고 있다. 상담중기(6-22회기, 성숙한 여성성 찾기)에는 여성성 찾기 모습을 배와 조개류로 표현하고, 영원한 소녀 같은 모습이 사라진다. 사과나무로 깨우침이 있음을 표현하고, 무지개로 이전 것이 종료되고 새로운 변화가 있음을 표현하며, 다른 사람을 보는 시각이 달라졌다고 한다. 상담말기(23-27회기, 관계성 회복)에는 과일로 풍부한 에너지를 표현하고, 돌로 확고한 자기 존재를 보여주고, 화합, 조화와 대극의 통합을 표현한다. 결국 부성 콤플렉스에서 벗어나 성인으로의 통과의례를 원만히 못한 아버지의 딸에서 여성성을 회복하며 관계성도 회복한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런 내면의 변화와 더불어 실생활에서 부모님에 대한 이해, 타인에 대한 수용과 포용력이 향상돼 자유롭고 보호된 공간에서의 모래놀이치료의 유효성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sandplay therapy case of an early 30’s bereaved woman with focusing on father complex based on analytical psychology and sandplay theories. Client had the problem of relationships and emotional regulation and spiritless. Twenty-seven therapy sessions were held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therapy process as followed. In the initial phase of therapy(1-5th sessions, neglect, the start of journey), she expressed unhealthy femininity which was a typical phenomenon for the daughter of father complex, neglect during early childhood and the journey of seeking femininity in the right front part of sandbox which was the area of femininity. In the intermediate phase of therapy(6-22nd sessions, seeking mature femininity), boats and shellfish showed the theme of seeking femininity. The image of puella aeterna was disappeared. Old ego seemed to disappear by showing apple trees and rainbow. New consciousness and new viewpoint of seeing others appeared. In the final phase of therapy(23-27th sessions, recovery of relationships), she expressed fruits as affluent energy. The solid self-existence appeared by showing stones. There were harmony, balance and union of the opposites. As a result, with the free of father complex, from the father’s daughter who didn’t experience the rite of passage as an adult properly, as she recovered femininity, her relationships with others were also revitalized. This study showed the effectiveness of sandplay therapy because the client’s understanding toward her parents and others, acceptance and tolerance in a real life with the transformation of inner world were broaden by sandplay therapy in the free and protected spa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부록 1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지장애 노인의 유튜브 기반 예술치료 참여에 따른 개인별 심리 및 생리 반응 분석
- 병원 조직문화에 대한 미술치료사의 경험 탐색 : 예술기반연구
- 구조적 인생회고 기법과 결합한 치료적 음악활동이 노인의 노화불안과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