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문학교육 교과수업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이용수 8
- 영문명
-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Lecture Early Literature Education’ Class : Focus on the Storytelling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강문숙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3호, 113~1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창의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을 갖춘 예비유아교사를 양성하는 것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유아문학교육 교과수업에 적용 가능한 스토리텔링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방법과 절차는 문헌분석, 사례분석, 요구분석을 통해 교수설계 모형의 초안을 구안하고, 전문가 형성평가를 통해 1차 수정․보완하였다. 수정․보완된 모형을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8주에 걸쳐 현장 적용하여 모형의 강점과 개선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2차 수정․보완하여 최종의 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문학교육 교과와 스토리텔링의 특성을 반영한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하여 교과수업에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Rechey와 Nelson(1996)과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인 ADDIE 모델과 비교․대비하는 과정을 거쳐 교수설계 모형의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고, 향후 활용단계에서 학습자에게 학습한 지식, 전략, 방법을 기초로 학습을 극대화할 수 있다. 셋째, 스토리텔링 전개단계는 학습자들이 본격적인 학습 결과물을 개발하는 단계로 설계하였다. 또한, 효과적인 유아문학교육 교과수업을 하기 위하여 스토리 구성방법에서 체제적인 교수설계를 기초로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극적요소를 삽입하여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으며, 각 단계와 각 단계별 성찰활동을 위한 설계는 창의적인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중추적인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based on the storytelling for Early Literature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stages. First, the draf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 was proposed by performing a literature survey and a case study. Second, the draft model was applied to the actual work. And the draft was modified to the final model on the basis of the draft model's strength. It was implemented with 32 students who were sophomores in the Early Childhood Department and enrolled in the professional class of a S University, P city for 8 weeks. This model was modified and issu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s a core instructional activity process, sub-processes encompass; preparing the storytelling based learning, selecting the early literature education and the early literature education problem finding, understanding storytelling based learning, building the team and role sharing team, storytelling based learning goal setting, theme setting and theme structuralization, re-constitution role sharing team, development of contents based on storytelling, presentation of results, retelling, facilitating the presentation of the results, reflection and evaluating the whole process. To accomplish this study, first of all, this research analyzed the core values, design strategy, optimal learning activity process, and its supporting components. These components were integrated into the desired model, which was selected after the needs analysis and the literature review of the theories and the cases regarding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ly, the study synthesized the relevant components from the previous research activities and generated the first version of the model prototype. This study identified the four core values as: systemic support for learning activity, systematic support for learning activity, just in time support for learning activity and support for interaction facilitation. From the implementation result of the model,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action on applying storytelling technique to the beginning stage of storytelling based learning. And adding the 're-constitution role sharing team' step into the original steps was suggested. As further research areas, it might be useful to develop the support system for design model from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 활동 영역에서 QR코드 활용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이야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앱의 콘텐츠 종류 및 상호작용 유형 분석
- 세계 최초의 그림책 『세계도회』에 나타난 언어교육론 고찰
- 그림책을 통해 본 인간출생 과정과 의미
- 남자 유치원 초임교사의 허물벗기
-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풍속화를 활용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 북한 창작 우화 『친구 없이는 못살아』에 나타난 문학적 요소 및 내용 분석과 교육적 활용방안
-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 성폭력
- 유아문학교육 교과수업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화∙동시 분석
- 다문화 아동의 한국어 사용수준이 학교적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건강상태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산책을 통한 미술활동에 나타난 영아의 경험 탐색
-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와 유아의 인지능력관계에서 자아개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분석
- 어머니-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동향 분석
- CCTV와 함께 생활하는 유아교사 이야기
- 유아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평가 준거에 대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