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 앱의 콘텐츠 종류 및 상호작용 유형 분석
이용수 8
- 영문명
- Analyzing the Types of Contents and Interactivity of Picture Book Ap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강은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4권 제3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 앱의 콘텐츠 종류와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아이튠즈와 Google Play의 앱스토어에서 ‘도서’와 ‘교육’의 검색어로 465편의 그림책 앱을 선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465편의 그림책 앱의 기반이 된 콘텐츠의 종류에 있어서 국내외에서 제작된 앱들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연구문제 1의 결과 국외에서는 많이 활용되나 국내에서 적게 활용되고 있는 창작동화 기반 그림책 앱을 중심으로 상호작용 유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언어상호작용, 스토리 상호작용, 텍스트 상호작용, 그래픽과의 상호작용, 내비게이션의 여러 유형들이 있었으며, 국내외에서 주로 사용되는 양상들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국내외 그림책 앱 모두 주로 탭이나 드래그의 터치 제스처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모션 제스처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넷째, 그림책 앱은 재미를 위해 게임이 활용된 다양한 관련 활동들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개발자들에게는 그림책에서 그림책 앱으로의 변환 시 문학성을 고려할 것과, 유아교육자들에게는 그림책 앱에 대한 유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그림책 앱 읽기가 문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아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content and interactivity of picture book applications(apps) produced by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465 picture book apps which were downloaded from itunes and Google play appstore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content based on picture book apps statistically differed from Korea to overseas countries. Second, 26 apps(based on the modern picture book) of the 465 app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ocusing on interactivity, gestures, and activities in those picture book apps. Language, story interaction, text interaction, graphic interaction, and navigation were explored in 26 picture book apps, and some different aspects were discovered. Third, most picture books apps utilized the ‘tap’ and ‘drag’ touch gestures, in comparison with other motion gestures rarely used. Fourth, story related activities were included in the most of the picture book apps and used for fun in various way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app developers should consider the ‘literary value’ when transforming from picture book to picture book apps, and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uld explore young children's user interface for picture book apps and consider the influence of reading picture book apps on young children's literacy.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과학 활동 영역에서 QR코드 활용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을 활용한 인성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이야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 그림책 앱의 콘텐츠 종류 및 상호작용 유형 분석
- 세계 최초의 그림책 『세계도회』에 나타난 언어교육론 고찰
- 그림책을 통해 본 인간출생 과정과 의미
- 남자 유치원 초임교사의 허물벗기
- Sandler의 그림읽기 절차에 따라 풍속화를 활용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 북한 창작 우화 『친구 없이는 못살아』에 나타난 문학적 요소 및 내용 분석과 교육적 활용방안
-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 성폭력
- 유아문학교육 교과수업을 위한 교수설계 모형 개발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화∙동시 분석
- 다문화 아동의 한국어 사용수준이 학교적응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보육교사의 건강상태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산책을 통한 미술활동에 나타난 영아의 경험 탐색
-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와 유아의 인지능력관계에서 자아개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분석
- 어머니-자녀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영유아의 생활지도와 관련된 연구동향 분석
- CCTV와 함께 생활하는 유아교사 이야기
- 유아 영재교육 대상자 선발을 위한 평가 준거에 대한 기초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