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 프로그램이 만 1, 2세 영아의 문학적 태도와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Picture Book Based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and Toddl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원 남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1권 제1호, 105~13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 프로그램이 영아의 문학적 태도와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세 영아 26명(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 만 2세 영아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이고, 실험집단 만 1세 영아 13명, 만 2세 영아 15명을 대상으로 10주간에 걸쳐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사 결과 만 1세와 만 2세 영아의 그림책에 대한 흥미, 그리고 만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행동, 만 2세 영아의 수용언어, 표현언어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만 1세 영아의 긍정적인 그림책 읽기 행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어린이집 현장에서 문학을 교육내용을 하는 영아 문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의 중요성을 시사해 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picture book based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on infants' and toddlers' attitude about picture book reading and language development(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reading behavior, and book handling). Subjects were 26 1-year-old infants(13 experimental group, 13 control group) and 30 2-year-old toddlers(15 experimental group, 15 control group).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ANCOVA with a pretest serving as the covariate.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n proposed picture book based literature education program while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Child Care Curriculum. The procedur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a pretest, and intervention, and a posttest. The ANCOVA result shows significant overall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howed better attitude about picture book reading, including picture book preferences, spontaneous reading, active participation on reading, and applying to real world situations. And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showed better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more positive reading behavior, and more skillful book handling behavio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의미구성 과정 -자서전적 상호텍스트를 중심으로-
-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지원 프로그램이 아동의 언어, 사회성, 자아개념 발달과 가정환경에 미치는 효과
- 영어 유머와 우리말 번역 - 로알 달의 작품을 중심으로
- 메타픽션 그림책 분석 및 그에 대한 아동의 반응 연구
- 반복적 동화 들려주기 활동과 동화구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및 이야기 구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읽기의 심미적 접근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를 중심으로
-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 프로그램이 만 1, 2세 영아의 문학적 태도와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