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 읽기의 심미적 접근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를 중심으로
이용수 30
- 영문명
- An Analytical Study of Aesthetic Elements in a Picture Book: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임부연 박향원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1권 제1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그림책의 풍부하고 다양한 표현양식들은 유아들을 예술적 세계로 안내하며 심미적 경험을 도와주는 중요한 교육적 요소들이다. 본 연구는 유아용 그림책이 가지는 풍부한 표현양식을 ‘심미적관점’에서 바라보고, 이를 표층미와, 심층미, 숭고미와 인식론적 미, 그리고 원형미학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교육학적 의미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그림책이 가지는 미적 요소들을 심화시켜 분석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은 실제 유아교실에서 그림책 읽기행위를 풍부하게 도와주어 유아문학이 가지는 독창적이고 다의적 장점을 극대화 하기위한 노력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특히 그림책을 직접 선택하고 활용하는 교사와 성인 독자로 하여금 그림책이 가지는 본질적 아름다움과 즐거움을 놓치지 않고 살펴볼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어린 독자인 유아들을 대상으로 미학교육의 실제를 가장 친근하고 편안하게 접근해 볼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그와 함께 ‘작가적 아동도서’의 다양한 문학적 시도를 미학적 관점에서 탐색함으로서 수준 높은 아동문학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Forms and Structures of Picture-book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ng 'educational meaning' for young children. Through picture-books, children have joy, fantasy, and aesthetic experience that would not be otherwise. The work to analyze the forms of structures of picture book from an aesthetic view point indicates one of the educational efforts to make the abundant meaning of picture books to maximiz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wer of picture-books from an aesthetic viewpoint by analyzing various aesthetics elements which include a sense of form, inner state of beauty, a beauty of epistemology, sublime sense of beauty, and archetypical meaning of beauty. This study will be able to help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 their own sense of beauty so that they can help young children enjoy the rich and fascinating world of aesthetics through picture-books.
목차
Ⅰ. 서 론
Ⅱ. Mo Williems의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에 대한 심미적 그림책 읽기
III. 결 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의미구성 과정 -자서전적 상호텍스트를 중심으로-
-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지원 프로그램이 아동의 언어, 사회성, 자아개념 발달과 가정환경에 미치는 효과
- 영어 유머와 우리말 번역 - 로알 달의 작품을 중심으로
- 메타픽션 그림책 분석 및 그에 대한 아동의 반응 연구
- 반복적 동화 들려주기 활동과 동화구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및 이야기 구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읽기의 심미적 접근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를 중심으로
-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 프로그램이 만 1, 2세 영아의 문학적 태도와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