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이용수 19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화 서정숙 이영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1권 제1호, 49~6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아교육에서 문학교육을 독립된 교과 영역으로 보고자 하는 연구가 늘어남에 따라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여러 교사 변인에 따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향후 유아문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126명이다. 설문 항목은 유아문학교육의 목표 및 성격, 유아문학 작품 및 작가, 유아에 대한 이해 및 문학작품의 적합성, 유아문학교육의 교수방법, 유아문학교육의 평가,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교사의 유능감에 대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의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는 대체로 높았지만 유아문학교육의 평가, 유아문학작품 및 작가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았다. 교사의 변인별로는 유아교사의 학력이 높을수록 문학교육에 대한 인식정도는 높았지만, 교사의 관련 과목 수강 여부나 현직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인식 차이는 전체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유아문학교육을 위해 유아문학교육 평가, 유아문학작품 및 작가에 대한 교육의 강화를 비롯하여 좀 더 효과적인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운영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necessity of a program to educat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has been recently raised as there are increasing investigations based on the notion that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can be a separate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However, there is no investigation on teachers' perception on the literature education. To provide necessary data to make a better literature teaching progra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research carries out an in-depth investigation o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eacher variables. The subject consists of 126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The survey items are the goal and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literature and writers, the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 and the suitability of children's literature, the teaching method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eval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eachers' competence of literature education.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the level of teachers' overall perception on literature education is generally high but that the levels of their perceptions on the eval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literature and writers are relatively low. The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 variables shows that the level of the perception on literature education is higher as the level of their education is higher but that literature-related course taking or teaching experiences do not mak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perception on the literature educ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operate a more effective, improved teacher program in every aspect including literature education evaluation and the education on literature and writers.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그림책에 대한 의미구성 과정 -자서전적 상호텍스트를 중심으로-
-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지원 프로그램이 아동의 언어, 사회성, 자아개념 발달과 가정환경에 미치는 효과
- 영어 유머와 우리말 번역 - 로알 달의 작품을 중심으로
- 메타픽션 그림책 분석 및 그에 대한 아동의 반응 연구
- 반복적 동화 들려주기 활동과 동화구연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력 및 이야기 구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읽기의 심미적 접근 : “Don't Let the Pigeon Drive the Bus!” 를 중심으로
- 유아문학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 프로그램이 만 1, 2세 영아의 문학적 태도와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