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동요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7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Children's songs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동환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2호, 179~19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동요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유아 동요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4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에서 발표된 유아 동요 관련 논문 294편을 수집하였고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 연구효과 변인이 어떠한지를 중심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유아 동요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동요 관련 연구의 동향을 시기별로 살펴보면 유아 동요 관련 연구는 2000년대 중반에 연구의 수가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까지 지속해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별로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문헌 및 연구물, 교사, 부모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순서대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에 따라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문헌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가 순서대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 유형으로는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동요곡 분석에 관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된 동요곡의 유형으로는 전래동요, 창작동요, 국악동요, 외국동요, 클래식 동요가 순서대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효과 변인으로는 언어 발달을 살펴본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음악성 발달, 사회성 발달, 정서 발달, 놀이성 발달, 창의성 발달, 수·과학 발달, 인지 발달, 신체 발달을 살펴본 연구가 순서대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유아 동요 관련 연구의 동향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파악한 바를 토대로 유아 동요 관련 연구의 학술적 발전을 위한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children’s song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ollow-up research in this area. This study analyzed 294 selected research papers from 1984 to 2023 in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on research trends related to children’s songs for young children, focusing on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research contents, and research effects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n children’s songs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the mid-2000’s. Second, most of the studies investigated on young children, followed by literature, teachers, and parents. Third, when examining the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methods were prevalent, followed by literature research, qualitative methods and mixed methods. Fourth, most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o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on children’s songs, followed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ongs. As for the types of songs used in the research of children’s songs,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were the most used songs, followed by creative children’s songs, Korean classical creative children’s songs, world children’s songs, and classical children’s songs. Fifth, as variables for examining research effects, variables related to language development were used the most in examining research effects, followed by musical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emotional development, playfulness development, creativity development, math and science development, cognitive development and physical developmen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and be a valuable foundation for research on children’s so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동요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초임교사의 만 2세 영아 놀이지원 역량 향상을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 데이비드 위즈너의 글 없는 그림책에 나타난 환상 구현 방식 연구: 데페이즈망 기법을 중심으로
- 그림책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만 4세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신체활동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 창작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의 거짓말
- 그림책 선정기준에 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 예비유아교사의 시민의식이 민주시민교육 교수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놀이성이 문제행동 지도전략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놀이기록 수행 실태
- 코로나19 이후의 지속가능한 거리두기 속 영아반의 신체접촉 양상과 의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