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경험 탐색

이용수  19

영문명
A Study on Exploring Teacher’s Experiences with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박성빈 김정숙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1호, 207~23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원에서 유아 창의성 교육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들의 저널을 수집하고 유아교사 7인을 면담하였다. 면담 자료는 전사하여 근거이론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방법을 거쳐 반복적으로 읽으며 말뭉치와 핵심어를 중심으로 내용을 정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의 상상력, 유창성, 정교성, 융통성, 독창성, 호기심과 몰입 등 창의성 요소가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창의성 교육의 딜레마도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창의성 교육을 위해 적절한 개입과 개방적 태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며 창의성 교수역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성 교육환경의 한계로 학급당 많은 유아로 구성된 교실환경과 학습결과 및 성과지향의 교육문화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추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창의성 교육을 내실화하고 교사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journals of students receiving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at graduate school were collected, and 7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read repeatedly through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ccording to grounded theory, and the content was refined with a focus on corpus and keywords. First, in the process of carrying out a play-centered curriculum, it has been shown that creativity elements such as imagination, fluency, sophistication, flexibility, originality, curiosity and immersion are included in young children. On the other hand, the dilemma of creativity education also appeared in the play-centered curriculum. Second,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teachers in creativity education, it was found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teachers' appropriate intervention and open attitude, and that creativity teaching skills are needed. Third, a limitation of the creative education environment was a classroom with many young children per class, and learning results, and performance-oriented educational culture were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ble to be used as basic data to substantiate and activate early childhood creativity education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빈,김정숙. (2023).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경험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4 (1), 207-230

MLA

박성빈,김정숙.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경험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4.1(2023): 207-2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