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다문화 통합학급 다문화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사례 연구
이용수 36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a Multicultural 5-year-old Child in a Multicultural Integrated Class in a Kindergart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최윤정 이문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1호, 231~26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에서 다문화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교사가 다문화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을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강원도 A시의 유치원 다문화가정 유아인 5세 별이(가명)를 단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의사소통 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교사 학부모 유아 면담 전사본, 놀이 관찰 전사본 및 현장노트, 연구 일지 및 회의록, 기타 문서 등 다원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발달 특징에서 별이의 언어생활 성장 배경, 의사소통 능력 수준, 갈등과 한계를 나타냈다. 둘째, 유치원 일과 관찰에서 일과 적응에 문제없어 보임, 비사회적 놀이 수준, 소극적 태도를 나타냈다. 셋째, 의사소통 능력 검사에서 의미 표현의 어려움으로 어휘 부족, 단문 위주의 표현, 의미 연결하여 이야기하기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한 시사점은 첫째, 유치원 다문화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교사는 먼저 다문화 가정과의 연계를 통해 유아의 성장, 언어적 문화적 배경의 특징 등을 파악하여 맞춤형 지원 및 가이드를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교사가 다문화가정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발달 맥락에서 파악하고, 공인된 언어검사 도구를 통해 평가하되 점수 뿐만 아니라 관찰을 병행하여 다문화 유아의 언어 특성과 태도 등을 면밀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ers who operate multicultural inclusive classes in kindergartens to understand and support multicultural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To this end, Byeol-i (pseudonym), a 5-year-old child from a multicultural family in a kindergarten in A city, Gangwon-do, was selected as a single research participant, and multidimensional data such as transcripts of interviews with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transcriptions of play observations, field notes, research diaries and minutes, and other docu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As a result, first, in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 through connection with family, Byeol-i's language life growth background, communication ability level, and conflicts and limitations were shown. Second, what appeared in the observation of daily routines in the kindergarten were not a problem in daily adaptation, non-social play level, and passive attitude. Third, in the communication ability test, difficulty in expressing meaning was found to be due to a lack of vocabulary, and expression focused on short sentences with difficulty in connecting meanings.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ho operate multicultural inclusive classes in kindergartens must first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growth,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through connection with multicultural families, and provide customized support and guidancees. Second, for teacher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y should identify them in the overall developmental context and evaluate them through certified language test tool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closely understand the language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of multicultural children through observation and the evaluation scores of certified language test too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성인지 감수성 그림책 분석
- 유치원 다문화 통합학급 다문화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사례 연구
-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말놀이가 유아의 창의성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나타난 세시풍속으로서의 크리스마스 이미지
- IPA 기법을 통한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유아 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 난민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 반응 연구
- 유아의 마음이론 내포 그림책 등장인물의 바람 및 의도의 실현 양상 고찰: 주인공을 중심으로
- 이수지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의 재현과 환영
-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겪는 유아반 보육교사의 어려움과 노력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경험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