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PA 기법을 통한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유아 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이용수  23

영문명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Anti-bias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강동동 김민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1호, 1~2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 교사 193명으로부터 질문지 자료를 수집 후 SPSS 26 프로그램을 이용해 t-검증과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중요도 인식이 실행도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중요도-실행도 분석한 결과 현 수준 유지할 필요한 영역은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목적’,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그림책 읽기 활동’ 및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평가’로 나타났으며,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내용’,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그림책 선정기준’은 장기 개선할 필요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문항별 중요도-실행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의 세부 내용의 구체적인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처럼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대해 유아 교사들이 갖는 인식을 중요도와 실행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교육 현장에서 반편견교육을 활성화하는 지원 방향 및 구체적 지원전략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disparities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gard to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To this en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93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6.0. The results for the a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ir perceived performance in all areas of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execution of each subfactor, the areas that need to be maintained at the current level are ‘purpose of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reading of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and ‘evaluation of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Additionally, ‘contents of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and ‘criteria for selecting picture books for anti-bias education’ were classified as areas that need long-term improvem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execution of each item, the specific distribution of the details of the subfactors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by dividing them into importance and performance, future directions and a specific support strategy for revitalizing anti-bias education were derived for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저널정보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어린이문학교육연구 학술저널
어린이문학교육연구 제24권 제1호
2023.3 1 - 21 (21page)
DOI : 10.22154/JCLE.24.1.1
저자정보
강동동
김민진 (중앙대학교)
표지
이용수
129
내서재
1
인용하기인용하기
한글 인용 프로그램 한시적 무료
공유하기공유
IPA 기법을 통한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유아 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다운받기
다운받기
AI 뷰어보기
AI뷰어보기
논문보기
논문보기
AI 요약
연구주제
연구배경
연구방법
연구결과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 간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I 뷰어로 더보기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대한 유아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실행도 인식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 교사 193명으로부터 질문지 자료를 수집 후 SPSS 26 프로그램을 이용해 t-검증과 중요도-실행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중요도 인식이 실행도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하위요인별 중요도-실행도 분석한 결과 현 수준 유지할 필요한 영역은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목적’,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그림책 읽기 활동’ 및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평가’로 나타났으며,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내용’,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의 그림책 선정기준’은 장기 개선할 필요한 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문항별 중요도-실행도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의 세부 내용의 구체적인 분포를 확인하였다. 이처럼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대해 유아 교사들이 갖는 인식을 중요도와 실행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교육 현장에서 반편견교육을 활성화하는 지원 방향 및 구체적 지원전략을 도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disparities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regard to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To this end, survey data collected from 193 teachers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6.0. The results for the a t-test and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importance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ir perceived performance in all areas of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execution of each subfactor, the areas that need to be maintained at the current level are ‘purpose of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reading of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and ‘evaluation of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Additionally, ‘contents of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and ‘criteria for selecting picture books for anti-bias education’ were classified as areas that need long-term improvem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portance-execution of each item, the specific distribution of the details of the subfactors was confirmed.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anti-bia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by dividing them into importance and performance, future directions and a specific support strategy for revitalizing anti-bias education were derived for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접어두기
#그림책(Picture Books)
#유아 교사(Early Childhood Teachers)
#반편견교육(Anti-bias Education)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Ⅲ.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동동,김민진. (2023).IPA 기법을 통한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유아 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4 (1), 1-21

MLA

강동동,김민진. "IPA 기법을 통한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유아 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4.1(2023): 1-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