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에 나타난 세시풍속으로서의 크리스마스 이미지
이용수 0
- 영문명
- Christmas Images as Seasonal Customs i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민 임민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4권 제1호, 23~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그림책에 나타난 크리스마스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크리스마스가 유아들에게 어떠한 의미로 전달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크리스마스를 주제로 하는 그림책 47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주제분석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크리스마스는 트리 등의 장식을 통해 일상생활과 구별되는 분위기를 연출하고, 가족, 친구, 이웃들과 함께 식사를 하거나 편지와 선물을 주고받고 어울리는 날로 묘사되었다. 또한 산타클로스에 대한 의식을 통해 산타클로스의 방문을 기대하고 상상을 펼치는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즉 크리스마스는 한 해를 마무리하는 세속적 기능으로 표현되었으며, 풍습의 전형성보다는 개방성이 두드러지게 묘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크리스마스 행사를 하고자 할 때 관습적인 활동을 반복하기보다는 고유의 크리스마스 문화를 주체적으로 형성하고 유아들과 함께 의미를 구성해나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유아가 크리스마스의 진정한 가치를 발견하고 능동적으로 즐거움을 누릴 수 있는 크리스마스 문화가 형성되기 위한 기초 자료 및 담론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images and messages of Christmas, which has become a new seasonal custom in Korea, through the picture books for young children. A total of 47 books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researchers repeatedly read picture books and derived categories by discussion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re was a custom of decoration such as Christmas tree, wreath, strands, etc., which made a distinctive atmosphere from everyday life. Second, people was hanging around with family, neighbors and friends in Christmas seasons, sharing food, gifts and greeting cards. Third, children showed anticipation and imagination toward Santa Claus. Unique, rather than typical styles of Christmas customs were featured. The results suggest that we need to create the meaning of Christmas with childre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forming an educational discourse on Christmas for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성인지 감수성 그림책 분석
- 유치원 다문화 통합학급 다문화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관한 사례 연구
- 게이미피케이션을 활용한 말놀이가 유아의 창의성 및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에 나타난 세시풍속으로서의 크리스마스 이미지
- IPA 기법을 통한 그림책을 활용한 반편견교육에 유아 교사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 난민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유아 반응 연구
- 유아의 마음이론 내포 그림책 등장인물의 바람 및 의도의 실현 양상 고찰: 주인공을 중심으로
- 이수지의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서의 재현과 환영
- 놀이중심 교육과정에서 겪는 유아반 보육교사의 어려움과 노력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 창의성 교육에 대한 교사의 경험 탐색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