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성형 AI시대의 지적재산 보호를 위한 안무 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
이용수 147
- 영문명
- Framework for Managing Choreography Data to Protect Intellectual Property in Generative AI Era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박아름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3호, 216~230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성형 인공지능(GAI)을 활용한 안무 창작과 관리에서 발생되고 있는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고 지적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디지털 기술 발전으로 안무 데이터의 관리와 분석이 용이해졌고 GAI가 중요한 창작 도구가 되었다. 그러나 GAI의 데이터 학습 과정에서 안무가의 권리 보호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공정한 수익 분배가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GAI를 활용한 안무 생성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개선할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프레임워크의 구성 계층은 3종류의 모듈로 구성된다. 1) GAI 시스템 모듈은 인공지능 윤리 원칙에 따라 개발되어야 하며, 2) 데이터 수집/관리/배포 시스템 모듈은 안무 데이터를 세분화하여 관리하며, 3) 데이터 활용/검증 시스템 모듈은 메타데이터를 활용하여 안무가의 지적재산을 보호하는 근거 자료로 사용된다. 관계 계층은 각 시스템 모듈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학습, 참조, 감사 관계를 형성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GAI를 활용한 안무 창작 과정에서 지적재산권 보호와 공정한 이용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며, 안무가의 권리를 보호하고 창작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for 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in choreography creation and management using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GAI). This paper present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horeography generation using AI based on complexity theory and proposes a framework to address these issues. The framework is segmented into relationship and structural layers. The structural layer comprises GAI system, data acquisition/management/distribution system, and data utilization/verification system modules. The GAI system module should be developed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principles, the data acquisition/management/distribution system module should manage choreography data in a detailed manner, and the data utilization/verification system module should use the metadata from the choreography data to serve as evidence for protect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choreographers. The relationship layer organically connects each system module to form learning, reference, and audit relationships. The framework is necessary to ensure the protection and fair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in choreography creation using GAI, thereby protecting the rights of choreographers and promoting creative activities. This framework contributes to solving complex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artistic creation process in the GAI era.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Ⅲ. AI기반 안무 창작의 윤리적 검토를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자의 고용정책 요구에 따른 집단 유형 및 특성 분석
- 노인이 인식한 주택개조필요성 유형화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금융 분야의 이상탐지 모델 보안을 위한 통계 기반의 적대적 데이터 대응 방안 - 실증적 분석과 시뮬레이션 결과 -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가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첨단 소부장(소재·부품·장비)기업 연구개발 투자의 재무적 성과와 영향
- 보험사 디지털 전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민의 환경문제 인식이 환경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환경정보 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AI / Post-AI 시대 기업의 경영전략으로서 ‘공존경쟁력’에 관한 연구: 시대별 기업경쟁력의 비교와 변화
- 행복플로리시 관점에서 직장여성의 일의 심리학이론(PWT)의 적용
- 워리어플랫폼의 5대 능력과 발전 방향
-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을 위한 억양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 MZ세대의 사회자본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지속 가능한 블록체인 소액 결제 시스템
- 생성형 AI시대의 지적재산 보호를 위한 안무 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
- 은퇴 노인의 우울감, 주관적 건강 상태, 전반적 삶의 질의 관계: 일자리 기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정신질환형 범죄 대응을 위한 사법입원제도 도입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