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질환형 범죄 대응을 위한 사법입원제도 도입 가능성
이용수 163
- 영문명
- Assessing the Feasibility of a Mental Health Tribunal for Crimes Related to Mental Illness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안재경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3호, 86~104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불분명한 동기에 의한 폭력범죄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이상동기범죄’라 불리는 이러한 유형의 범죄는 예측하기 어렵고 죄질이 매우 심각하여 대중에게 심리적·정신적으로 큰 고통을 준다. 이상동기범죄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 정신질환과 관련된 문제는 형사 및 비형사사법기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지할 수 있어 다른 유형에 비해 사전에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 즉, 자타해 위험성이 높은 정신질환형 우범자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면 그 위험성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아직 자타해 위험성에 기반한 사전적인 예방책에 대한 제도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중증 정신질환자의 고위험행동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사법입원제도’의 도입 가능성을 탐색했다. 사법입원제란 판사(사법기관) 내지 준사법기관에 의한 중증 고위험 행동의 정신질환자를 강제입원시키는 제도로 기본권 제한에 대한 판단과 더불어 공정성 확보가 강화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 연구는 특히 준사법기관에 의한 강제입원을 실시하는 영국과 호주의 모델 도입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또한, 해당 제도가 국내에 적용되기 위해 해결되어야 하는 과업들에 대해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중증 정신질환자에 대한 대응이 국가돌봄차원으로 변화되어야 하며, 의료급여수가에 대한 조정, 사법계에서의 인적·물적 차원 개선, 사법입원 대상자의 권리마련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준사법기관이 입원, 치료, 퇴원 여부를 모두 결정하게 되는 체계는 현존하는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와 ‘정신건강심사위원회’를 활용함으로써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책임 소재에 대한 명확화와 업무의 일원화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incidence of violent crimes with unclear motives is on the rise. Crimes classified as “abnormal motive crimes,” or “motiveless crimes,” are particularly concerning due to their unpredictability and the sever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mpact they have on the public. Among the various causes of these crimes, mental illness stands out as a factor that can be identified and addressed by both the criminal and non-criminal justice systems. Unlike other types of crimes, where preemptive measures are often difficult to implement, mental illness–related crimes present an opportunity for proactive intervention, especially when the individual poses a high risk of self-harm or harm to others, despite not having committed a crime yet.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a “Judicial hospitalization” or “Involuntary civil commitment” as a response to the high-risk behavior of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This system involves the involuntary hospitalization of high-risk individuals by a judge or a mental health tribunal thereby ensuring both the restriction of fundamental rights and the enhancement of fairness in the process. This study specifically discusses the feasibility of adopting models from the UK and Australia, where mental health tribunals is responsible for involuntary commitment, and examines the necessary steps to implement such a system in South Korea. The paper suggests that the response to high-risk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should shift toward a government-led care model, requiring adjustments in medical reimbursement rates and improvements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ithin the judicial system. By establishing a system in which a mental health tribunal decides on hospitalization, treatment, and discharge, existing institutions such as the Committee for the Appropriateness of Hospita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Mental Health Deliberation Committe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thereby clarifying responsibilities and streamlining proce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III.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자의 고용정책 요구에 따른 집단 유형 및 특성 분석
- 노인이 인식한 주택개조필요성 유형화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금융 분야의 이상탐지 모델 보안을 위한 통계 기반의 적대적 데이터 대응 방안 - 실증적 분석과 시뮬레이션 결과 -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가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첨단 소부장(소재·부품·장비)기업 연구개발 투자의 재무적 성과와 영향
- 보험사 디지털 전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민의 환경문제 인식이 환경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환경정보 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AI / Post-AI 시대 기업의 경영전략으로서 ‘공존경쟁력’에 관한 연구: 시대별 기업경쟁력의 비교와 변화
- 행복플로리시 관점에서 직장여성의 일의 심리학이론(PWT)의 적용
- 워리어플랫폼의 5대 능력과 발전 방향
-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을 위한 억양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 MZ세대의 사회자본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지속 가능한 블록체인 소액 결제 시스템
- 생성형 AI시대의 지적재산 보호를 위한 안무 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
- 은퇴 노인의 우울감, 주관적 건강 상태, 전반적 삶의 질의 관계: 일자리 기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정신질환형 범죄 대응을 위한 사법입원제도 도입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