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령자의 고용정책 요구에 따른 집단 유형 및 특성 분석

이용수  95

영문명
Analysis of Group Type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Employment Policy Needs of the Elderly
발행기관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저자명
조성은 윤지영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제15권 제3호, 39~5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생애주된일자리 퇴직연령은 50세 전후이나, 70세 이상까지 노동시장에 머물러 중장년의 재취업 및 계속고용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고령자 대상 고용정책은 정책대상자의 수요와 특성 파악보다 일정 연령이상에 같은 정책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임금근로중인 고령자를 대상으로 계속고용, 재취업 활성화 정책 필요 인식에 따라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유형 구분,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였고, 고령자 고용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고령자의 유형은 총 4개로 분류되었는데, 첫 번째 잠재계층은 선호하는 고령자의 계속근로를 위한 정책지원 중 전직지원을 가장 선호하는 집단이고, 두 번째 그룹은 고령자의 계속근로를 위한 정책지원 중 근로환경개선과 고령자 고용시 보조금과 같은 금전적 지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집단으로 구분 되었다. 집단 구분을 바탕으로 각 정책지원 선호 유형별 특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 고용을 단순히 연령을 기준으로 나누어 지원하고 있는 현 정책에서 나아가 고령자의 현 직장의 안정성이나 만족도, 기타 특성, 정책 관련 선호 유형과 더불어 각 유형에서 나타나는 특성들을 고려해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In South Korea, the typical retirement age from lifelong employment is around 50, but many individuals continue working in the labor market until over 70, making reemployment and continued employment for older adults highly significant. However, existing employment policies for the elderly often apply a uniform approach based solely on age rather than understanding the specific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population.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elderly individuals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the necessary policies for continued employment and reemployment, ident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explore implications for elderly employment. The study identifies four distinct latent groups: (1) a group that prefers career transition support; (2) a group that values improvements in working conditions and financial assistance, such as subsidies for elderly employment; (3) a group that favors wage system reform; and (4) a group that prefers employment in social enterprises and roles with social contributions. Analysis reveals that policies should extend beyond age-based criteria to consider factors such as job stability, satisfaction, and specific characteristics related to policy preferences. This study suggests a need for a diversified approach to elderly employment policies, incorporating various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of each identified grou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은,윤지영. (2024).고령자의 고용정책 요구에 따른 집단 유형 및 특성 분석. 미래사회, 15 (3), 39-52

MLA

조성은,윤지영. "고령자의 고용정책 요구에 따른 집단 유형 및 특성 분석." 미래사회, 15.3(2024): 39-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