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을 위한 억양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99
- 영문명
- Development of Intonation Correction Program for North Korean Defectors to Settle in Korea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이수연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3호, 134~146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함경 방언권 출신의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억양 교정을 시도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함으로써 한국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자 하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적극적인 언어적응 교육을 제공할 토대를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어의 기본 강세구 패턴 THLH와 문장 유형별 억양구 경계성조 특징을 습득하여 기존에 가지고 있던 함경 방언 억양을 개선할 수 있도록 음성분석 프로그램 Praat을 이용하여 억양 곡선을 시각적으로 제시하고, 청각적 피드백을 함께 제공하여 억양 교정을 시도하였다. 강세구 패턴, 평서문과 의문문의 억양구 경계성조, 부정문의 부정부사 음높이를 개선하기 위한 실험 문장을 설계하고 북한이탈주민 2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억양 교정을 실시하였다. 언어 교육 전문가 3인이 5점 리커트 척도로 억양 평정한 결과 모든 문장에서 교정 전과 후의 현저한 개선이 확인되었다. 또한 억양 교정 전과 후의 억양 곡선의 양상을 확인한 결과 교정 후 측정한 억양 곡선은 시각적으로도 함경 방언의 특성보다 한국어 억양 곡선의 특성을 나타내어 억양 교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active language adaptation education to North Korean defectors who wish to adapt the South Korean society by correcting their intonation and the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In this study, North Korean defectors attempt to correct their intonation by visually presenting an the intonation curve using the voice-analysis program Praat. This is performed to improve their current intonation of the Hamgyeong dialect by acquiring the basic Korean accent-pattern THLH and sentence type. An experimental text is designed to improve the tone of the stress mouth pattern, as well as the boundary tone of the intonation mouth for plain and negative texts. The intonation of two North Korean defectors are corrected. The result of intonation evaluation by three language-education experts on a 5-point recut scale indicates significan, improvement after proofreading is performed for all sentences. Additionally, the appearance of the intonation curve before and after intonation correction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intonation curve, instead of those of the Hamgyeong dialect, are visually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및 내용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자의 고용정책 요구에 따른 집단 유형 및 특성 분석
- 노인이 인식한 주택개조필요성 유형화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금융 분야의 이상탐지 모델 보안을 위한 통계 기반의 적대적 데이터 대응 방안 - 실증적 분석과 시뮬레이션 결과 -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가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첨단 소부장(소재·부품·장비)기업 연구개발 투자의 재무적 성과와 영향
- 보험사 디지털 전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민의 환경문제 인식이 환경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환경정보 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AI / Post-AI 시대 기업의 경영전략으로서 ‘공존경쟁력’에 관한 연구: 시대별 기업경쟁력의 비교와 변화
- 행복플로리시 관점에서 직장여성의 일의 심리학이론(PWT)의 적용
- 워리어플랫폼의 5대 능력과 발전 방향
-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을 위한 억양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 MZ세대의 사회자본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지속 가능한 블록체인 소액 결제 시스템
- 생성형 AI시대의 지적재산 보호를 위한 안무 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
- 은퇴 노인의 우울감, 주관적 건강 상태, 전반적 삶의 질의 관계: 일자리 기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정신질환형 범죄 대응을 위한 사법입원제도 도입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