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은퇴 노인의 우울감, 주관적 건강 상태, 전반적 삶의 질의 관계: 일자리 기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181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among Retired Older Adults: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mployment Expectations
발행기관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저자명
장미수 한나
간행물 정보
『미래사회』제15권 제3호, 53~7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은퇴 노인의 우울감이 주관적 건강 상태를 매개하여 전반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일자리 기대감이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8차 연도 자료에서 만 65세 이상의 은퇴 노인 1,970명의 데이터를 추출하여 PROCESS macro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건강 상태가 우울감과 전반적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또한 일자리 기대감이 평균 이하일 때만 우울감이 주관적 건강 상태를 낮추고, 주관적 건강 상태가 전반적 삶의 질을 낮추는 조건부 효과가 각각 유의하였다. 최종적으로, 우울감이 주관적 건강 상태를 매개로 전반적 삶의 질에 미치는 조건부 간접효과는 일자리 기대감이 평균 이하일 때만 유의했으며, 일자리 기대감이 평균보다 높을 때(+1 SD)에는 이러한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토대로 은퇴 노인의 적응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전략과 심리적 개입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whether employment expectation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overall quality of life (QoL) among retired older adults,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used as the mediating variable. Data from 1,970 retirees aged 65 and older, obtained from the 8th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software. Results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QoL. When employment expectations were below average, two significant conditional effects were observed: (1) depression significantly decreased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2) subjective health status significantly reduced QoL. Finally, a significant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observed, wherein depression negatively impacted QoL through subjective health status; however, this effect was significant only when employment expectations were below average. In contrast, when employment expectations were one standard deviation above the mean (+1 SD), the indirect effect was not significan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practical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s to enhance adaptation to retirement and well-being among retired older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미수,한나. (2024).은퇴 노인의 우울감, 주관적 건강 상태, 전반적 삶의 질의 관계: 일자리 기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미래사회, 15 (3), 53-74

MLA

장미수,한나. "은퇴 노인의 우울감, 주관적 건강 상태, 전반적 삶의 질의 관계: 일자리 기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미래사회, 15.3(2024): 53-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