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이 인식한 주택개조필요성 유형화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202
- 영문명
- A Study on Type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Perceived Need for Home Modification by the Elderly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이광원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3호, 75~8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이 인식한 주택개조필요성의 특성을 유형화하고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초고령 사회를 대비한 노인 주거복지서비스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국토교통부에서 위탁받아 국토연구원과 한국리서치에서 조사를 실시한 주거실태조사에 응답한 13,145명의 노인이다. 분석을 위해 SPSS 26, M-plus 8.0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적 통계분석, 잠재계층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노인의 주택개조필요성 인식을 유형화한 결과, 1집단은 전반적 지원추구형, 2집단은 응급대비형, 3집단은 전반적 저수준, 4집단은 안전예방추구형, 5집단은 일상생활지원추구형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요구가 적은 것으로 나타난 3집단(전반적 저수준)을 참조집단으로 하여,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 소득, 학력, 주택건설연도, 자가여부, 지역, 자산, 장애여부 등이 유의한 예측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노인 주택개조사업을 진행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한국 노인의 인식 수준, 그리고 대상자 선별을 위한 예측요인에 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가 다가오는 한국 사회에서 실제 서비스를 받게 될 노인들의 인식을 유형화하였다는 점, 그리고 예측요인 분석을 통해 다양한 제도적, 연구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perceived need for home modifications among the elderly and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se perceptions, with the goal of providing policy recommendations for elderly housing welfare services in anticipation of a super-aged society.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13,145 elderly participants in the Housing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and Hankook Research, commission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 and M plus 8.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class analysis identified five types of perceived need for home modifications among the elderly: overall support seekers, emergency preparedness, overall low-level need, safety prevention seekers, and daily life support seekers. Using the overall low-level needs group (Group 3) as a reference,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dentified age, income, education level, year of house construction, homeownership status, region, assets, and disability status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perceived ne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 eldery’s perception levels for implementing elderly home modification projects, as well as the factors to consider when selecting target beneficiar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tegorizes the perceptions of the elderly population expected to receive services in the forthcoming super-aged Korean society, and offers various institutional and research implications based on ananalysis of predictive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V.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자의 고용정책 요구에 따른 집단 유형 및 특성 분석
- 노인이 인식한 주택개조필요성 유형화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금융 분야의 이상탐지 모델 보안을 위한 통계 기반의 적대적 데이터 대응 방안 - 실증적 분석과 시뮬레이션 결과 -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가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첨단 소부장(소재·부품·장비)기업 연구개발 투자의 재무적 성과와 영향
- 보험사 디지털 전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민의 환경문제 인식이 환경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환경정보 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AI / Post-AI 시대 기업의 경영전략으로서 ‘공존경쟁력’에 관한 연구: 시대별 기업경쟁력의 비교와 변화
- 행복플로리시 관점에서 직장여성의 일의 심리학이론(PWT)의 적용
- 워리어플랫폼의 5대 능력과 발전 방향
-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을 위한 억양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 MZ세대의 사회자본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지속 가능한 블록체인 소액 결제 시스템
- 생성형 AI시대의 지적재산 보호를 위한 안무 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
- 은퇴 노인의 우울감, 주관적 건강 상태, 전반적 삶의 질의 관계: 일자리 기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정신질환형 범죄 대응을 위한 사법입원제도 도입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