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복플로리시 관점에서 직장여성의 일의 심리학이론(PWT)의 적용
이용수 101
- 영문명
- Apply of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to Working Women from the Perspective of Flourishing
- 발행기관
- 서울사이버대학교 미래사회전략연구소
- 저자명
- 여수형 김현아
- 간행물 정보
- 『미래사회』제15권 제3호, 24~38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의 심리학 이론에 있어서 직장여성의 행복플로리시의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사회계층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와 행복플로리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일 자유의지와 행복플로리시의 이중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3년 이상의 일 경험이 있는 직장여성 205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사회계층, 객관적 사회계층, 일 자유의지, 행복플로리시, 괜찮은 일을 설문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9.0과 PROCESS Macro v4.2를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 자유의지는 사회계층과 괜찮은 일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으며, 객관적 및 주관적 사회계층과 괜찮은 일의 관계에서 일 자유의지는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행복플로리시는 사회계층과 괜찮은 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고, 객관적 및 주관적 사회계층과 괜찮은 일의 관계도 완전 매개하였다. 사회계층이 괜찮은 일로 가는 경로는 일 자유의지와 행복플로리시가 이중 매개하였는데, 행복플로리시는 일 자유의지와 괜찮은 일 사이의 경로를 완전 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추후 연구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flourishing grounded in 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PWT).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 volition and flourishing were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among working women. Additionally,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work volition and flourishing was demonstrated. Subjective social class, objective social class, work volition, flourishing and decent work were surveyed in 205 women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work experience. SPSS 29.0 and PROCESS Macro v4.2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nd bootstrapping was us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work voli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or subjective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Flourishing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or subjective social class and decent work was also fully mediated. The path from social class to decent work was serial mediating by work volition and flourishing, which fully mediated the path between work volition and decent work. Finall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cope of the study as well a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령자의 고용정책 요구에 따른 집단 유형 및 특성 분석
- 노인이 인식한 주택개조필요성 유형화 및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금융 분야의 이상탐지 모델 보안을 위한 통계 기반의 적대적 데이터 대응 방안 - 실증적 분석과 시뮬레이션 결과 -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가 학생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 첨단 소부장(소재·부품·장비)기업 연구개발 투자의 재무적 성과와 영향
- 보험사 디지털 전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만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민의 환경문제 인식이 환경 만족도와 친환경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환경정보 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 AI / Post-AI 시대 기업의 경영전략으로서 ‘공존경쟁력’에 관한 연구: 시대별 기업경쟁력의 비교와 변화
- 행복플로리시 관점에서 직장여성의 일의 심리학이론(PWT)의 적용
- 워리어플랫폼의 5대 능력과 발전 방향
- 북한이탈주민의 국내 정착을 위한 억양 교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 MZ세대의 사회자본과 의사소통 능력 간의 관계: 공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지속 가능한 블록체인 소액 결제 시스템
- 생성형 AI시대의 지적재산 보호를 위한 안무 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
- 은퇴 노인의 우울감, 주관적 건강 상태, 전반적 삶의 질의 관계: 일자리 기대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정신질환형 범죄 대응을 위한 사법입원제도 도입 가능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경비지도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기계경비시스템 효율적 활용 방안 연구 : 민간경비 분야 효율성 증대를 중심으로
- 산업기술 유출 의도의 심리적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 TCI 기질과 합리적 선택 이론의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