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예습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이용수  22

영문명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Learning Effectiveness According to Type of Preview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발행기관
한국교육방법학회
저자명
홍주현 박인우
간행물 정보
『교육방법연구』제36권 제3호, 171~2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개입 정도에 따라 예습을 제공해주었을 때 어떤 예습 제공이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학교의 네 개의 그룹을 대상으로 수업 참여도, 학습 동기,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네 개의 그룹은 교사의 개입 정도에 따라 나뉘며 예습과제를 제공하지 않은 집단, 교사의 설명과 소통이 없는 학습지 예습 제공 집단, 교사의 설명은 있고 소통은 없는 녹화 동영상 예습을 제공한 집단, 교사의 설명과 소통이 모두 있는 대면 지도 예습을 제공한 집단으로 나뉜다. 사전 검사, 사후 검사, 추후 검사를 진행하여 세 번의 시점별 시간 흐름에 따른 학습 효과의 변화를 보고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수업 참여도와 학습 동기에서는 시간 흐름별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습지로 예습을 제공한 집단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교사의 설명과 소통이 없는 학습지 예습 제공이 자기주도적으로 예습을 진행하게 하여 학습 동기에 영향을 미쳤고 수업 참여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학업성취도의 경우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시험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다른 변수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학습지 형태의 예습 제공이 학습 효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pre-study provision affected learning effectiveness when pre-study was provided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eacher intervent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tests on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four groups at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The four group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eacher intervention: a group in which the instructor did not provide preview assignments but only provided preview guidance, a group in which the instructor provided preview in worksheets, a group in which recorded video previews were provided, and a group in which face-to-face tutorial previews were provided. A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were conducted to see changes in learning effects over time at each of the three time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group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class participation and learning motivation, and the group that provided pre-study with worksheets showed the greatest effect. In the case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is seems to have motivated students to learn by reading the textbook and filling in the blanks with their own initiative, and their participation in class subsequently increased. In the case of academic achievement, it is interprete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other variables played a role due to the special nature of testing. Overall, providing pre-study in the form of a workbook with less teacher intervention had an effect on learning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주현,박인우. (2024).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예습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36 (3), 171-200

MLA

홍주현,박인우.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예습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교육방법연구, 36.3(2024): 171-2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