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What Factors Influence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tinued Intention to Use Generative AI? : Focusing on TAM and ECM
이용수 72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정한호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6권 제3호, 231~2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ontinuous use intention of generative AI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Specifically, the study utilized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nd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ECM) to investigate these factor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targeting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following a pilot test of the survey items, from early May to mid-June 2023. Through this study, key factors affecting students' intentions to continue using generative AI were identifi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C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students' continuous use intention of generative AI. Second, ATT towards generative AI was identified as having a direct significant impact on the CUI among university students. Third, PU emerged as an important factor in shaping students' intentions to continue using generative AI. Fourth, SAT played a crucial role in forming students' intentions to continue using generative AI. Fifth, PEOU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STF or ATT towards generative AI.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study presents additional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영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기술수용모형(TAM)과 기대일치모형(ECM)을 활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 항목에 대한 파일럿테스트를 거친 후 2023년 5월 초부터 6월 중순까지 진행하였으며 수도권에 위치한 3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생성형 AI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첫째, 기대 확인은 학생들의 생성형 AI 지속 사용 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성형 AI에 대한 ATT가 대학생들의 CUI 에 직접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PU는 대학생들이 생성형 AI를 계속 사용하려는 의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SAT는 AI 생성형를 계속 사용하려는 대학생들의 의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PEOU가 생성형 AI 에 대한 STF, ATT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추가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Literature Review
Ⅲ. Proposal model and hypotheses
Ⅳ. Method
Ⅴ. Results
Ⅵ. Discussion &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범대학 다문화교육 강좌의 교육과정과 수업 개발을 위한 질적 다중사례 연구
-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 잠재 유형의 잠재전이분석
-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예습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 Optimizing Learning Outcomes through Motivation-Adapted Individualized Teachable Agents
- What Factors Influence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tinued Intention to Use Generative AI? : Focusing on TAM and ECM
- 디지털 심화 시대를 위한 ASSURE 모형 개선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