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Optimizing Learning Outcomes through Motivation-Adapted Individualized Teachable Agents
이용수 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김성일 정윤경 이선영 우연경 권순구 조은수 한천우 임가람 이명진 황수영 Woogul Lee 김원식 소연희 윤미선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6권 제3호, 309~33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utilized the Korea University Intelligent Agent (KORI) to develop a customized program tailored to learners' motivation levels and examined its effectiveness. In Study 1, a regression model was constructed to predict learners' mastery goals by combining behavioral indicators during the use of the online KORI program. Study 2 compared achievement, metacognitive awareness, and topic interest across conditions: individualized KORI condition, non-individualized control condition, and multimedia control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using the individualized KORI program outperformed other conditions in essay writing, metacognition, and quizz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dentifying learners' motivation levels through online behavior indicators and providing tailored intelligent tutoring programs can enhance learning outcomes.
영문 초록
이 연구는 고려대학교 지능형 교수 에이전트(KORI)를 활용해 학습자의 동기 수준에 맞춘 개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1에서는 온라인 프로그램 사용 시의 행동 지표를 기반으로 학습자의 숙달 목표를 예측하는 회귀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 2에서는 개별화된 KORI 프로그램 사용 조건, 비개별화된 통제 조건,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를 사용한 통제 조건 간의 성취도, 메타인지 인식, 학습 흥미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개별화된 KORI 프로그램을 사용한 참가자들은 에세이 작성과 메타인지에서 다른 조건들보다 뛰어난 성과를 보였고, 퀴즈에서도 멀티미디어 조건을 능가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온라인 행동 지표를 통해 동기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별화된 교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KORI: A Teachable Agent
Ⅳ. Overview of the Study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범대학 다문화교육 강좌의 교육과정과 수업 개발을 위한 질적 다중사례 연구
-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 잠재 유형의 잠재전이분석
-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예습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 Optimizing Learning Outcomes through Motivation-Adapted Individualized Teachable Agents
- What Factors Influence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tinued Intention to Use Generative AI? : Focusing on TAM and ECM
- 디지털 심화 시대를 위한 ASSURE 모형 개선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