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 잠재 유형의 잠재전이분석
이용수 60
- 영문명
- Latent Transition Analysis of Adolescent Self Determination Academic Motivation Latent Profile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김하예슬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36권 제3호, 201~2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로서 학습 동기 유형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거치면서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 초등패널 3차, 6차, 9차 연도 데이터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수동 3-step 잠재전이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모든 학교급에서 5개 프로파일이 발견되었다. 각 학교급에서 낮은 동기형, 전반적 중도 동기형, 중도 자율성 동기형, 높은 자율성 동기형 등 4개 프로파일이 공통으로 발견되었다. 그리고 초등학교에서만 부과된 동기-자율성 동기형이, 중학교에서만 무동기-외적 동기형이, 고등학교에서만 낮은 자율성 동기형이 나타났다. 둘째, 초-중 전이에서는 같은 프로파일 이름이 있으면 해당 프로파일에 머무르는 비율이 높았지만, 그 외에는 자율성이 낮아지거나, 통제성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전이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같은 프로파일에 머무르는 비율보다 다른 프로파일로 이동하는 비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 전이에서는 자율성이 비교적 높았던 학생은 자율성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전이하는 비율이 높았으나, 다른 학생은 자율성이 유지되거나 증가하는 방향으로 전이할 가능성이 높았다. 중-고 전이 역시, 같은 프로파일에 머무르는 것보다 다른 프로파일로 이동하는 비율이 높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를 장기적으로 분석할 필요성과, 교육적 개입 시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할 것을 제언하고,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 유형의 전이 결과가 누적되어야 함을 말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dentified how self-determination academic motivation of Korean adolescence changes from elementary school through high school using manual 3-step latent transition analysis on 3rd, 6th and 9th year data of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GEPS). The results showed five classes at each school level. Four classes were common across school levels: low motivation, overall moderate motivation, moderate autonomous motivation, and high autonomous motivation. Additionally, introjected-autonomous motivation in elementary school, amotivation-extrinsic motivation in middle school and low autonomous motivation in high school were also revealed. In the elementary-middle school transition, many students remained in the same motivation class. However, overall, other students transitioned towards lower autonomous motivation or higher controlled motivation. In the middle-high school transition, students with relatively high autonomous motivation often shifted towards lower autonomous motivation, with other general trends showing increases or stability in autonomous motivation levels. For all time points, more students moved to different profiles at next time point than stayed in the same profil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논의
Ⅵ.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범대학 다문화교육 강좌의 교육과정과 수업 개발을 위한 질적 다중사례 연구
- 청소년의 자기결정성 학습 동기 잠재 유형의 잠재전이분석
-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예습 유형에 따른 학습 효과의 차이에 관한 연구
- Optimizing Learning Outcomes through Motivation-Adapted Individualized Teachable Agents
- What Factors Influence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tinued Intention to Use Generative AI? : Focusing on TAM and ECM
- 디지털 심화 시대를 위한 ASSURE 모형 개선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