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범죄피해상담사의 대리외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268
- 영문명
- The Narrative on the Experience of Vicarious Trauma Experienced by Crime Victim Counselors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김경인 박경화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5권 제2호, 151~17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범죄피해상담사의 대리외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로 범죄피해상담사가 경험한 대리외상에 대해 내러티브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내러티브 탐구 방법에 따라 10년 이상 활동한 범죄피해상담사 3명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결과는 연구참여자의 경험과 이야기에 따라‘우연히 시작하다,’ ‘열정적으로 몰입되다,’ ‘혼돈이 생기다,’ ‘한계와 마주하다,’ ‘갈등을 경험하다,’ ‘아픔을 공감하다,’ 그리고 ‘성장으로 나아가다’로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는 첫째, 범죄피해상담사의 대리외상은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관계적 측면에서 소진 경험이었다. 둘째, 범죄피해상담사의 대리외상 과정은 새로운 영역에 적응해가는 상담사의 적응 및 소진 과정과 유사하다. 셋째, 범죄피해상담사의 대리외상 극복은 상담사 개입의 한계를 수용하고 상담사의 치료적 역량 강화를 통해 전문성 향상과 범죄피해상담사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경험이 되었다. 본 연구는 범죄피해상담사의 대리외상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탐구하려는 내러티브 연구로 범죄피해자 상담에서 경험한 상담사의 대리외상을 이해하려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 of vicarious trauma of crime victim counselor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ree crime victim counselors who have been active for more than 10 years according to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episodes, the study results were reconstructed in the aspects of: “accidentally begin,” “passionately immersed,” “get confused and dazed,” “standing at a deadlock,” “conflict just got experienced,” “pain now shared,” and “stepping into growth.” The discuss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s given as follows. First, the vicarious trauma experience of the crime-victim counselor was exhaustion in terms of physical, cognitive, emotional, and relational aspects. Second, the proxy trauma process of crime-victim counselors was shown to be similar to the adaptation and exhaustion process of counselors adapting to new areas of expertise. Third, overcoming vicarious trauma of crime-victim counselors has turned out to be an experience of enhancing their expertise and also of establishing identity as a crime-victim counselor by accepting the limitations of their intervention and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as a therapist. As this study is the one of the narrative inquiries that aims to inquire the fundamental meaning and nature of the vicarious trauma experience that most crime-victim counselors suffer from,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vicarious trauma experience of the crime-victim counselors who have experienced during their counsel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과 연구대상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주요 관계 대상과의 친밀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학교 폭력 피해 경험 유무(有,無)별 비교 분석
- 범죄피해상담사의 대리외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예술 활동이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전공 대학생의 그릿과 자기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성격 강점을 활용한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청소년 사례 중심으로
-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에 관한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적용한 중년여성의 모래상자치료 사례
- 문화예술전공 중국인 유학생이 인식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별인식의 조절효과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회적 자본과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