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주요 관계 대상과의 친밀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학교 폭력 피해 경험 유무(有,無)별 비교 분석
이용수 342
- 영문명
- The Impact of Intimacy with Key Relationships on Smartphone Addiction: A Comparative Analysi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박성원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5권 제2호, 131~15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주요 관계(부모, 교사, 친구)의 친밀함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탐구하고, 특히 학교 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과 그렇지 않은 청소년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방정환재단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 청소년 3,066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 폭력 피해 청소년들은 높은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 문제를 완화하는 주요 관계 체계에서 취약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는 학교 폭력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른 요인을 압도할 정도로 크다는 것을 보여 준다. 학교 폭력은 피해자의 정신건강과 행동에 장기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예방과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과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부모, 교사, 교육청, 외부 기관 간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다. 또한,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청소년의 주요 관계 체계의 사회적 자본 기능을 강화하고, 경쟁적 교육 환경에 대한 각성이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oseness of key adolescent relationships (parents, teachers, friends) and smartphone addiction, specifically comparing adolescents with and without experiences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Using data from the Korea Youth Foundation, the study surveyed 3,06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adolescents who experienced school violence are more vulnerable to stress and less able to mitigate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key relational systems. This finding highlights the overwhelming impact of school violence on individuals compared to other factors. School violence has long-term negative effects on the mental health and behavior of victims, necessitating systematic approaches and diverse support programs for prevention and support. Building networks among parents, teachers, educational authorities, and external organizations is essential. Additionally, the study emphasizes the urgent need to enhance the social capital functions of key adolescent relationships and raise awareness about the competitive educational environment.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주요 관계 대상과의 친밀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학교 폭력 피해 경험 유무(有,無)별 비교 분석
- 범죄피해상담사의 대리외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예술 활동이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전공 대학생의 그릿과 자기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성격 강점을 활용한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청소년 사례 중심으로
-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에 관한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적용한 중년여성의 모래상자치료 사례
- 문화예술전공 중국인 유학생이 인식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별인식의 조절효과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회적 자본과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후천적 시각장애인의 예술심리치료 단일사례연구
- 청소년 주제통각검사(TAT-A) 자기보고식 프로토콜 기반 카드당김효과 분석
- 플레이백 씨어터를 통한 공동체적 대화가 참여자들의 사회적 유대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