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예술 활동이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5
- 영문명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Cultural Properties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 Awareness, and Peer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신동옥 백지혜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5권 제2호, 5~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예술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위치한 D유치원의 만 5세 유아 46명으로 한 학급 23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23명을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 예술 활동을 9주간 주 2회 총 17회 걸쳐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개정누리과정에 기초한 전통문화 활동을 실시하였다.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또래 상호작용에 대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공변량(ANC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 예술 활동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의 전체 및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 예술 활동은 실험집단이통제집단보다 또래 상호작용의 전체 및 하위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또래 상호작용의 증진을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에서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전통문화 예술활동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cultural properties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peer interaction This study examined 46 five-year-old children located at “D” kindergarten in Daegu Metropolitan City. Of the 46 children, 23 children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3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cultural propertie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16 times for nine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raditional culture activities based on the revised Nuri curriculum. The instrument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 developed by Jeon (2003), supplemented and amended by Kim (2012), was used to measure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 This study applied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created by Fantuzzo and others. (1995) as an object of domestic early childhood by Choi and Shin (2008). The collected data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e followings: First, for the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cultural propertie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traditional culture, specifically within the categories of clothing life, food life, shelter life, traditional arts, cultural property, and traditional play such as folk gam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for the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the cultural properties,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ositive interaction and play disturba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result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at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arts activities using cultural properti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early childhood traditional culture and peer interaction.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의 주요 관계 대상과의 친밀함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학교 폭력 피해 경험 유무(有,無)별 비교 분석
- 범죄피해상담사의 대리외상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문화재를 활용한 유아 전통문화예술 활동이 전통문화 인지 및 선호도와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전공 대학생의 그릿과 자기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 성격 강점을 활용한 대인관계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청소년 사례 중심으로
- 집단따돌림 피해 경험에 관한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적용한 중년여성의 모래상자치료 사례
- 문화예술전공 중국인 유학생이 인식하는 경제적 어려움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별인식의 조절효과
-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사회적 자본과 협력적 거버넌스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