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이용수 545
- 영문명
-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in relation to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and academic lethargy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최인하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1호, 133~14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경북에 재학중인 중학교 2-3학년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거된 설문지는 SPSS 통계 프로그램과 SPSS Macro를 통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스마트폰과의존과 학업무기력 그리고 우울과 학업스트레스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울과 학업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직접효과보다 우울과 학업스트레스를 경유하여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울과 학업스트레스가 매개 역할을 함으로서 학업무기력을 더 부정적으로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관련하여 학업무기력을 감소하는데 있어 우울과 학업스트레를 감소시키면 학업무기력 감소가 효과적일 수 있다는 시사점들을 언급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academic helplessness in adolescent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500 students in
grades 2 and 3 of junior high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and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SPSS Macro.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 academic lethargy,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In addition,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on academic lethargy, and the effect of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through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was greater than the direct effect on academic lethargy. This means that depression and academic stress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of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on academic lethargy, making academic lethargy more negative. Therefore, in relation to adolescents' overdependence on smartphones, we have cited implications that reducing depression and academic weakness may be effective in reducing academic letharg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상관계 회복을 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
-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among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 학습코칭 자격제도의 발전방안
- 대학생 도박중독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지지가 여성장애인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 거주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 대학생의 권태성향과 학습 동기조절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진로선택에 대한 경험사례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이 인식하는 완벽주의, 어머니 양육태도, 정신건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