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권태성향과 학습 동기조절의 관계
이용수 154
- 영문명
- An Empirical Analyses of Relationships between Boredom Proneness and Motivational Regulation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전명남 박혜숙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1호, 5~2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권태성향과 학습 동기조절의 개념을 다루고, 대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하여 권태성향과 학습 동기조절 변인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권태성향 변인의 하위요인은 ‘내적 권태성향’, ‘외적 권태성향’이고, 학습 동기조절은 ‘가치조절’, ‘자기-결과적 조치’, ‘수행적 자기지시’, ‘환경 구조화’, ‘숙달적 자기 지시’,‘흥미 강화 전략’이다. 권태성향 변인의 하위요인과 학습 동기조절 변인의 하위요인 간에 Pearson 적률상관 분석결과, 내적 권태성향과 동기조절의 하위요인은 부적 관계(r=-.04 ~ -.41)로 나타났으며, 은 .1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 외적 권태성향은 다른 동기조절전략과의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학습 동기조절의 하위요인을 개별 종속변인으로 하고 권태성향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한 중다회귀분석 결과, 동기조절 변인 중 수행적 자기지시를 종속변인으로 한 모형을 제외하고 다른 5개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내적 권태성향은 종속변인인 동기조절을 부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외적 권태성향은 종속변인인 동기조절의 하위요인 중 환경구조화(p<.05)만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권태성향과 학습 동기조절에 대한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concept of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boredom proneness and motivational regul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173 college students. Relationships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boredom proneness subscales and six subscales(value regulation, performance self-talk, self-consequating, environmental structuring, interest enhancement, mastery self-talk) of motivational regulation wer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s among internal
boredom proneness variables and the motivational regulation variables ranged from r =-.04 to -.41, and al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except for those of performance self-talk and environmental struct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boredom proneness and other motivational regulation strategi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except for th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structuring (b=.166, p< .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motivational regulation subscales as respective dependent variables and internal and external boredom proneness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nducted. Except for the regression model with performance self-talk, all the rest five regression mode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gression model showed that except for environmental structuring as an outcome, internal boredom proneness predicted motivational regulation outcome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owever, except for environmental structuring, the external boredom proneness did not work 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motivational regulation subscal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for boredom proneness and motivational regulation for learning were made.
목차
I. 서 론
Ⅱ. 선행연구 개관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상관계 회복을 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
-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among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 학습코칭 자격제도의 발전방안
- 대학생 도박중독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지지가 여성장애인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 거주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 대학생의 권태성향과 학습 동기조절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진로선택에 대한 경험사례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이 인식하는 완벽주의, 어머니 양육태도, 정신건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