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지지가 여성장애인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 거주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이용수 123
- 영문명
-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n Women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Women with Disabilities Living in Jeollabuk-do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홍은정 김동일 이미나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1호, 77~9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여성장애인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여성장애인의 특수성을 반영한 양육 지원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자료는 전라북도 내 거주하는 만 3세~만 18세 자녀를 양육하는 여성장애인 15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2020년 2월부터 11월까지 조사한 자료이다. 분석 결과, 양육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이 제시되었음에도 사회적 지지가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1인당 한 달 양육비는 양육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스트레스 요인이며, 모든 회귀분석에서 양육을 도울 가족의 존재는 양육 스트레스, 우울감을 감소시키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장애인의 모성권을 원만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장애의 특수성을 반영한 사회적 지원 재고(再考)와 개선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childrearing support policies that reflect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women with disabilities by verify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in women with disabilities. The an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150 disabled women raising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3 and 18 residing in Jeollabuk-do, and was surveyed from February to November 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duction of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even though other factors affecting parenting were suggested. The monthly cost of childrearing per child is a stress factor that increases parenting stress, and in all regression analyses, the existence of a family to help raise a child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successfully fulfill the maternity rights of women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rethink social support that reflects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and prepare policy and practical measures for improv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상관계 회복을 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
-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among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 학습코칭 자격제도의 발전방안
- 대학생 도박중독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지지가 여성장애인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 거주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 대학생의 권태성향과 학습 동기조절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진로선택에 대한 경험사례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이 인식하는 완벽주의, 어머니 양육태도, 정신건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