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among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이용수 112
- 영문명
- 청소년기 후기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김용석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1호, 115~13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기 후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자아존중감 및 자아개념 정도와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한민국의 청소년기 후기 대학생 268명이 최종 참여자로 횡단적 단면연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t-test와 분산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는 2.01±0.20점(4점 척도)이었으며, 도덕적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은 각각 2.04±0.45점, 2.17±0.31점으로 중간 정도를 나타내었다. 도덕적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과(r=.596, p<.001),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자아개념과(r=.157, p=.011)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하부영역 중 생식 윤리(r=.124, p=.043), 생존권 윤리(r=.147, p=.016)도 자아개념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연구 제안: 본 연구의 결과로 생명의료윤리교육은 생식, 생존권, 죽음의 윤리를 포함하여 청소년기 후기 대학생의 고민과 갈등이 연계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 of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moral self-concepts and self-esteem among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Methods/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268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in South Korea. The statistical analyses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and ANOVA by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Findings: The average score fo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2.01±0.20 (using a 4-point Likert scale); the scores for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were 2.04±0.45, and 2.17±0.31 respectively. Self-este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self-concepts (r=.596, p<.001); and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self-concepts (r=.157, p=.011). Reproductive ethics (r=.124, p=.043) and the right to life (r=.147, p=.016), which are sub-domains of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ral self-concepts. Improvements/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ducation on biomedical ethics should focus primarily on reproductive ethics, the right to life, and the ethics of death.
목차
Ⅰ. Introduction
Ⅱ. Subjects and methods
Ⅲ. Results
Ⅳ. Explorat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상관계 회복을 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
-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among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 학습코칭 자격제도의 발전방안
- 대학생 도박중독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지지가 여성장애인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 거주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 대학생의 권태성향과 학습 동기조절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진로선택에 대한 경험사례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이 인식하는 완벽주의, 어머니 양육태도, 정신건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