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상관계 회복을 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280
- 영문명
- A Case Study of Play Therapy for Object Relationship Recovery
-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상담학회
- 저자명
- 차윤정 이미나
- 간행물 정보
- 『청소년상담학회지』제4권 제1호, 37~5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상관계 회복을 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은 연구 참여에 동의한 남자아동 2명(5세, 6세)이다. 연구기간은 2021년 4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주 1회 진행하였으며, A아동은 총 31회기, B아동은 총 48회기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8)의 분석단계인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세가지 과정으로 분석하였다. 아동은 놀이를 통해 세상은 경험한다.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적용하여 놀이치료 과정에서 놀이주제를 살펴보았다. 아동들은 자신이 경험한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대상은 아동 2명으로 놀이주제를 체계적으로 탐색하였다. 놀이치료 과정에서 아동들의 대상관계와 놀이주제는 어떠한지를 밝혀 현장에서 아동의 문제행동을 이해하고자 한다. 놀이를 통해 자신의 좌절과 결핍, 긍정적인 양육, 자기회복, 안전한 기지를 경험하였다. 즉, 놀이치료 과정에서 나타나는 놀이가 아동들의 심리적 회복과 욕구를 충족하고 회복시킬 수 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play therapy for object relationship recove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wo male children (aged 5 and 6)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study period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April 2021 to May 2022, and child A had a total of 31 sessions and child B had a total of 48 sessions. Data analysis was analyzed in three stages: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which are the analysis steps of Strauss and Corbin (1998). Children experience the world through play. This study applied grounded theory to examine the play theme in the process of play therapy. Children gave the meaning they experienced and explored in depth how to understand the mean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children, and the theme of play was systematically explored. In the process of play therapy, we try to understand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in the field by revealing how children's object relationships and play topics are. Through play, they experienced their own setbacks and deficiencies, positive parenting, self-recovery, and a safe base. In other wor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play in the process of play therapy can satisfy and restore children's psychological recovery and needs.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상관계 회복을 위한 놀이치료 사례연구
- 119구급대원의 외상사건 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마음챙김과 소명의식의 조절효과
-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among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 학습코칭 자격제도의 발전방안
- 대학생 도박중독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 사회적 지지가 여성장애인의 양육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전라북도 거주 여성장애인을 대상으로
-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과 학업무기력과의 관계에서 우울과 학업스트레스의 이중 매개효과
- 대학생의 권태성향과 학습 동기조절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적응과 진로선택에 대한 경험사례 -베트남 유학생을 중심으로-
- 대학생이 인식하는 완벽주의, 어머니 양육태도, 정신건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 프로그램이 외상경험 청소년의 감정표현불능증과 수용행동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