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1989년 개정 유치원 교육요령에 나타난 ‘유치원 교육의 기본’의 함의

이용수  9

영문명
Implications of “basic ideals of kindergarten education” of Japanese Course of study for Kindergarten revised edition, 1989
발행기관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저자명
임지연(Lim Jiyeon)
간행물 정보
『생태유아교육연구』제17권 제1호, 129~15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일본 국가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지침인 유치원 교육요령의 1989년 개정판에서 새롭게 등장한 ‘유치원 교육의 기본’의 도입 배경과 기본적 관점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9년 문부성에서 간행한 유치원 교육요령과 지도서, 유아교육 전문가들에 의해 저술된 1989년 개정 관련 해설서들, 그리고 관련 연구물들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1989년 개정의 배경에는 가정, 지역사회 그리고 자연환경 등의 전반적 사회 환경의 변화에 따른 유아의 불균형한 발달에 대한 위기의식과 교과교육중심의 유치원 운영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아기는 인간형성의 기초를 형성하는 시기로서 유치원 교육은 아이들의 ‘인간으로서의 발달’을 지원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인식이 개정의 토대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치원 교육의 기본으로서는 환경을 통한 교육, 유아의 주체적 생활의 전개, 놀이를 통한 총합적 지도, 개별 발달의 존중의 원칙이 정립되었음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ackdrop and the basic viewpoints of “Basic Ideals of Kindergarten Education,” which made its first appearance from the Japanese Course of study for Kindergarten Revised Edition, 1989. The study reviewed the Course of study for Kindergarten Revised Edition, 1989; teacher guidebook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r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and articles considering the Revised Edition, 1989. This study has shown a sense of crisis about the unbalanced development of children due to changes in their overall social environment, and this awareness of subject-centered curriculum in kindergarten has provided the backdrop for the 1989 revision. Moreover, the ideas that early childhood is when the basis of human formation occursand that the role of kindergarten is to support this human formation are the foundation of the revision. In addition, the revision has shown that four principles (education through environment, development of a child‘s subjective life, comprehensive education through play, and respect for individual development) were established as the Basic Ideals of Kindergarten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89년 유치원 교육요령 개정의 배경과 방향
Ⅲ. 89년 개정 유치원 교육요령에 도입된 ‘유치원 교육의 기본 의 내용과 의미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지연(Lim Jiyeon). (2018).일본 1989년 개정 유치원 교육요령에 나타난 ‘유치원 교육의 기본’의 함의. 생태유아교육연구, 17 (1), 129-152

MLA

임지연(Lim Jiyeon). "일본 1989년 개정 유치원 교육요령에 나타난 ‘유치원 교육의 기본’의 함의." 생태유아교육연구, 17.1(2018): 129-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